주요국 금리수준과 인플레이션 대응

in #kr17 days ago

포스팅이미지.png
美연준은 금리인하 지연을 그리고 유럽중앙은행은 올해 6월 금리인하가 예상된다. 한편 제조업 부진이 지속될 가능성으로 금년 독일의 제로 경제성장률을 전망한다. 그리고 영란은행(Bank of England)이 정책금리를 동결하면서 향후 예상보다 빠른 금리인하 가능성도 제시한다. 관련 내용을 간략히 살펴본다.

  • 美금리수준 전망

美콜린스 보스턴 연은 총재에 의하면 연율 2%라는 인플레이션 목표의 달성에 당초 생각보다 오랜 시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이에 더해 최근의 양호한 경제활동과 인플레 등을 고려한다면 현행 금리수준의 상당기간 지속이 예상된다는 의견을 피력한다. 아울러 올해 1분기의 인플레이션 완화는 다소 정체된 모습을 보인바 이는 놀라운 현상이 아니며 향후 인플레이션 완화가 불균형적인 모습으로 전개될 수 있고 또한 가장 가능성 높은 시나리오는 최근의 제약적인 금

리수준의 지속으로 경제성장이 둔화된다는 입장이다. 美연준의 쿡 이사는 최근 비(非)금융 투자기관을 통한 대출이 증가하나 이로 인해 금융시스템의 위험이 증폭되지는 않은 것으로 평가한다. 그리고 은행의 수익성은 양호하고 예금 변동성 역시 2023년 이후 안정되어가고 있다고 진단한다. 샌프란시스코 연은 데일리 총재는 제약적 통화정책으로 인플레를 목표수준까지 떨어뜨리기 위해서는 좀 더 시간이 필요하다고 언급한다. 그러나 인플레 압력을 낮추기 위

해 일부러 경제활동을 둔화시킬 필요는 없으며 향후 노동시장이 약해질 경우 금리인하를 고려할 수 있다고 발언한다. CME(시카고상업거래소)의 Fed Watch Tool은 계속해서 금년 2회(9월과 12월. 각 0.25%p)의 금리인하를 예상하고 내년의 경우 3월부터 추가 금리인하가 시작될 것으로 전망한다. 한편 올해 3월 도매재고는 전월대비 0.4% 감소한바 이는 1/4분기 재고(在庫)투자의 부족이 경제성장률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것임을 의미한다. 실제로 1/4분기 在庫투자는 GDP(국내총생산)가 0.35% 감소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 ECB 금리인하 전망

ECB(European Central Bank) 분쉬 위원(벨기에 중앙은행 총재)에 의하면 인플레이션 전망 관련 불확실성은 여전히 높은 편이며 ECB와 美연준의 통화정책 차별화는 유로화 약세를 심화시킬 수 있다는 입장이다. 스페인 중앙은행 총재인 데코스 위원은 올해 6월 금리인하가 예상되나 그 이후의 통화정책은 경제적 불확실성을 반영하여 매우 신중하게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ECB 귄도스 부총재는 올해 6월 통화정책회의 내용 즉 무엇을 결정할 것인지는 매우 분명하고 투명하지만 그 이후에 나타날 결과들에 대해선 예단이 어렵고 불확실성이 높은 편이다.

  • 금년 獨경제성장률

독일(獨) 경제연구소(IW)에 의하면 금년 獨경제성장률이 제로수준에 그칠 것으로 예상되며 산업별로는 제조업과 건설업이 침체국면을 벗어나지 못할 것으로 분석한다. 다만 인플레이션 완화 등으로 소비가 다소 회복될 것으로 기대되는 점은 긍정적 요인이라고 평가한다. 한편 올해 3월 산업생산은 전월대비 0.4% 줄었으나 예상치(−0.6%)대비로는 양호한 수준이다. 시장에서는 하반기에 다소 회복될 것으로 예상한다. 그리고 올해 1/4분기 상업용부동산 가격은 전년 동기대비 9.6% 하락하여 부동산경기 부진이 이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 스웨덴 정책금리 인하

스웨덴 중앙은행(에릭 테딘 총재)이 8년 만에 정책금리를 0.25%p 낮춰 3.75%로 결정하고 하반기에는 2회의 추가 인하가 가능하며 아직 인플레이션 문제를 해결한 것은 아니지만 금리를 인하할 여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입장을 공표한다. 이번 결정은 선진국 중앙은행들이 점차적으로 국내경제 상황을 금리결정에 좀 더 적극적으로 반영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英정책금리 동결

정책금리를 5.25%로 동결한 영란은행 베일리 총재는 당장 금리인하에 나설 준비가 되어있지 않지만 앞으로 2개월 정도면 인플레이션이 목표치에 근접할 수 있다는 사실은 매우 고무적이라는 입장이다. 이는 향후 금리인하가 가능하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시장에서는 올해 6월 금리인하 가능성을 45%로 보고 있으며 대체로 금년 2회의 금리인하를 예상한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Coin Marketplace

STEEM 0.27
TRX 0.11
JST 0.030
BTC 67730.39
ETH 3820.69
USDT 1.00
SBD 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