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포크 소프트포크란? 이 둘의 개념, 차이점과 변화

in #blockchain6 years ago

안녕하세요 레스코 혜민입니다.

오늘은 소프트포크는 무슨 말인지 하드포크는 왜 하는지
그이후에 어떻게 되는지 공부하여 정리해보았습니다 :)

영상으로 보실 분은 아래 영상 클릭 !
↓↓↓↓↓↓↓



하드포크와 소프트 포크를 이해하기위해
포크라는 개념에 먼저 다가가야합니다.

실제 포크의 모양을 보면 하나로시작해서 두개 혹은 세개로 나뉘어집니다.

1.PNG

블록체인상에서 포크는 이렇게 블록체인 모양이 나뉘어 지는것을 말합니다.

블록체인은 한방향으로 이어지는데 한시점에서 기존과 다른 성질의 블록이 생성이 된다면
기존의 블록체인은 계속 이어지면서 새로운 블록은 다른 갈래로 나뉘어집니다.

2.PNG

이것을 포크라고 합니다.
다른성질의 블록이 생성된다는것은 기존 블록에대한 문제점
개선하기위한 업데이트 라고 볼수도 있습니다.
이 업데이트, 포크에도 방식에따라 소프트 포크 / 하드포크로 나뉘어 질수있습니다.

3.PNG

먼저 소프트포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름처럼 소프트한 형식의 포크 입니다.

우리가 흔히 하던 소프트웨어, 앱등의 업데이트와 비슷한 성격입니다.
이유는 기존과 새로운버전의 상호 호환성 때문인데요

우리가 카카오톡 새로운 버전 업데이트를 안해도 문제없이 사용할수있듯이
소프트포크가 일어나면 기존방식의 지갑, 송금 등이 가능합니다. (유저입장)

4.PNG

블록체인의 모양은 포크가 일어났기떄문에 두갈래로 나뉘어지지만
두갈래의 블록들이 서로 상호호환이 가능하며
시간이 지나게되서 합의에 도달하면 새로운 하나의 블록체인이 됩니다.

5.PNG

여기서 주목 할점은 바로 참여자들입니다.
유저 노드 채굴자등 참여자들은 소프트포크가 일어나서 체인이 두갈래가 되더라도 합의가 이루어지면
결국 하나의 체인이되기 떄문에
참여자들 또한 두갈래로 나뉘어지지않고 네트워크은 분열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일반 유저들은 따로 업데이트를 하지않아도 문제가 없지만 하지만 여기서 채굴자들은
기존과 다른 소프트웨어로 바꿔서 채굴을 해야합니다.

바꾸지 않으면 채굴 이 이루어 질수가없으며
보상을 받을수없고 채굴자들은 강제적으로 새로운 소프트 포크를 받아들여야합니다.
새로운 소프트포크의 규칙이 맘에안든다면 채굴자들의 불만이 나올수도있는것이죠

6.PNG

다음은 하드포크 입니다.

하드포크는 하드한, 빡센 포크입니다.

블록의 크기를 키운다거나 채굴의 난이도를 변경하는등 근본적인 부분을 바꾸는것입니다.

기존 방식과 상호호환이 되지 않습니다.

예전에 쓰던 핸드폰 충전기가 지금의 스마트폰과 호환이 되지않는것처럼
하드포크가 일어나면 그시점부터 새로운 방식의 블록은 기존방식의 블록과 다른길을 갑니다.

7.PNG

블록체인의 모양은 두갈래로 갈라지며 합쳐지지않습니다.

즉, 하나의 블록체인이 두개의 블록체인으로 나뉘어지는 형식이 됩니다.

다른 블록체인이 생기는것은 쉽게 말하면 기존의 코인과 다른 코인이 생겨나게 되는것입니다.
그렇게해서 비트코인 캐쉬, 라이트코인, 이더리움 클래식 등의 코인들이 생겨나는것입니다.

8.PNG

그러면 하드포크는 무조건 새로운 코인이 생성?

하드포크 이후 참여자들은 나뉘어 질수있고 네트워크가 분열될수있습니다.

참여자들이 새로운 방식의 블록체인과 기존 방식의 블록체인중
각자가 선호하는 블록체인이 다르다면 갈라질수있는것이죠 그러면 새로운 코인이 탄생합니다.

하지만 모두가 원하는 방식의 포크 즉 업데이트가 이루어 진다면
모두가 새로운 방식의 블록체인을 원할것이고 기존의 체인은 아무도 사용하지않으며 버려지고
블록체인은 결국 하나로 유지될수있습니다.

반대로 모두가 원하지않는 포크라면?
모두가 기존의 방식을 유지고 새로운체인은 버려집니다.

9.PNG

하드포크가 이루어지면
다른 코인이 생기게되고 채굴자들이 새로운 블록체인에서 채굴을원하면
다른 소프트웨어를 사용해서 채굴을 해야합니다.

유저들은 기존의 코인과 같은양의 새로운 코인을 보유하게됩니다.
10비트코인을 가지고있었다면 10비트코인캐쉬가 자동적으로 생길수있는것이지요

그럼 개이득?? 하지만 새로운 코인의 가치가 어떻게될지모르며 기존코인의 가치가 떨어질수도있기에
이득이라고할수는없습니다.

10.PNG

그렇다고 소프트포크는 굿 하드포크는 노굿이라 볼 수 있을까요?

한네트워크에서 유저와 채굴자와 개발자는 같지만 다른 목표를 가지고있습니다.

예를들어 해당 코인의 가치가 오르는것은 모두에게 좋지만

채굴자는 수수료가 높아지고 보상이 높아지는것을 좋아하고
유저는 수수료가 낮아지길 원하죠

즉 포크에대해 서로의 의견이 찬성 반대 나뉘어질수 있고 하드포크가 이루어지면
채굴자들은 선택을 할수있습니다. 새로운 체인이냐 기존 체인이냐...

하지만 소프트포크의 경우는 선택을할수없습니다.

새로운 방식이 맘에들지않아도
새로운 방식에 다른참여자들이 합의하면 무조건 따라가야 하는수밖에 없습니다.
맘에들지않아도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사용해야합니다.

그래서 새로운 방식에 채굴자들이 불만을 가질수있습니다.

하지만 채굴자는 블록체인상에서 꼭 필요한 존재죠

11.PNG

채굴자의 힘을 보여주는 한 예로 2017년8월 비트코인이 segwit을 도입하면서 불만을가진 최대규모의
채굴업체 bitmain 중심으로 하드포크를 진행하고 그때 생겨난것이 비트코인 캐쉬입니다.


궁극적으로 가치를 높이기 위해 진행하는 소프트포크와 하드포크.
그 속의 방향성이 다를 뿐 그둘은 무엇이 맞고 틀리다고 절대적으로 이야기 할 순 없습니다

오래전 과거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발전이 있을 수 있었던건 때에 맞는 혁신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포크는 블록체인의 발전을 위한 혁신입니다

앞으로도 각 시기에 맞게 하드포크와 소프트포크를 통해 이루어지는 암호화폐들의 발전을
기대해봐야겠습니다

Coin Marketplace

STEEM 0.28
TRX 0.11
JST 0.031
BTC 67778.49
ETH 3811.60
USDT 1.00
SBD 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