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tcoin 25.10.20
BTT/KRW(일·주·월 스크린샷)를 기준으로, 요청하신 대로 “데이터에 근거한 절차적(단계적) 사고”로 꼼꼼히 분석해드리겠습니다. 각 단계는 관찰 → 해석 → 실무적 판단(명확한 조건·액션) 순서로 제시하겠습니다. 불확실한 내용은 추정임을 명확히 표기하고, 차트에서 확인 가능한 정보만을 근거로 결론을 도출합니다.
요약(한눈에)
- 현재 가격(화면 표기): 0.000765. 일봉 기준 최근 큰 하락(대형 음봉) 이후 저점권에서 횡보·반등 시도 관찰.
- 주요 구조: 이치모쿠 구름·중장기 이동평균선이 가격 위에 있어 중기·장기 저항 존재.
- 모멘텀·자금흐름: 일봉 RSI는 약 30~35대(약세권, 과매도 근접), MFI는 20대 중반 수준(자금유입 약함).
- 거래량·변동성: 급락 구간에서 거래량 스파이크 확인 → 이후 거래량은 전반적으로 감소. ATR은 급락 후 상승했다가 안정화된 상태.
- 단기 결론: 현재는 ‘저점에서 반등 시도’ 단계로, 거래량·모멘텀의 동반 확인 없이 상방 확신하기 어렵습니다. 종가 기준 돌파와 거래량 회복을 절차적(조건)으로 요구합니다.
1) 일봉 프레임 — 관찰 → 해석 → 판단
- 관찰
- 최근 큰 음봉(급락) 후 저가(약 0.000733~0.000740 부근)에서 아래꼬리·횡보 다수 관찰. 현재 0.000765 근처에서 소폭 회복 시도.
- 일봉 이치모쿠 구름·장기 MA(예: 60·120)가 가격 위에 위치.
- 일봉 RSI ≈ 31(약세권), MFI ≈ 26(자금 유입 약함). 거래량은 급락 스파이크 이후 감소 추세.
- 해석
- 일봉 관점에서 모멘텀·자금 흐름은 아직 회복되지 않았습니다. 현재 움직임은 기술적 반등 가능성이 크지만 장기 추세 전환을 입증하진 못함.
- 실무적 판단(일봉 기준)
- 장기(일봉) 매수 전제: 일봉 종가로 구름·장기 MA를 종가 기준 돌파하고, 그 캔들에 거래량이 평소 대비 유의미하게 증가(예: ≥1.5배)해야 확증으로 간주.
- 손절(예시): 일봉 최근 저점(약 0.000733) 아래로 이탈 시 손절 검토.
2) 주봉·월봉 프레임 — 관찰 → 해석 → 판단
- 관찰(주봉)
- 주봉도 하락 추세 지속, 최근 큰 주봉 음봉(급락) 확인. 주봉의 구름·MA 역시 가격 위에 위치. 거래량은 일시적 스파이크 후 지속적 회복 신호 미약.
- 관찰(월봉)
- 월봉은 구조적으로 하락 국면(장기적 저점권 형성). 월간 지표·구름이 여전히 상방 저항으로 남아 있음.
- 해석
- 주·월 기준으로는 구조적 약세가 유지되고 있어, 중장기 추세 반전은 주봉·월봉 수준의 확증(종가 돌파 + 거래량 회복)이 필요합니다.
- 실무적 판단
- 중장기 포지션(주봉·월봉 기준)은 주봉·월봉에서 명확한 돌파와 거래량 회복 확인 전까지 비중 확대 비권장.
3) 지지·저항(이미지 기반 명확한 가격대)
- 단기 지지(관찰된 저점): 약 0.000733–0.000740. 이 구간 이탈 시 추가 하락 가능성 큼.
- 단기 저항(당면): 약 0.000787–0.000800(일봉 중단부·단기 MA·볼린저 상단 근방).
- 중기 저항: 일봉·주봉의 구름 및 MA군(차트상 상단 영역).
- 해석: 0.000787~0.000800 구간을 종가 기준으로 확실히 돌파하지 못하면 다시 지지 테스트(0.000733대) 가능성 높음.
4) 지표 해석(데이터 기반 핵심 포인트)
- RSI(일봉) ≈ 31: 약세권이나 과매도 직후 반등 가능성 존재. 단독 신호로 신뢰도 낮음.
- MFI ≈ 26: 자금 유입 약하고 매수 압력이 크지 않음을 시사.
- 거래량: 급락 시 스파이크는 확인되나, 반등 구간에서 거래량 회복이 미미해 추세 전환 신뢰도 낮음.
- ATR: 급락 후 변동성 증가 → 최근엔 안정화. 향후 돌파 시 ATR 동반 상승이면 신뢰도 상승.
5) 절차적(규칙 기반) 매매 플랜 — 단계별 액션
- 기본 전제: 추세 전환을 ‘종가 기준(해당 프레임) 돌파 + 거래량 회복’으로 엄격히 확인한다.
A. 보수적 진입(권장)
- 진입 조건(필수)
- 60분·일봉 중 목표 프레임에서 저항(예: 일봉 0.000787–0.000800)을 종가로 상향 돌파.
- 돌파 캔들에 거래량이 최근 평균 대비 유의미하게 증가(예: ≥1.5배).
- 모멘텀 보조: RSI·MFI가 동반 상승(예: RSI 단기 >45~50로 향하는 움직임).
- 액션
- 조건 충족 시 전체 목표 금액의 1/3로 진입 → 돌파 지속 시 추가 분할 매수.
- 손절
- 최근 저점(예: 0.000733) 이하 또는 ATR×1.5 기준으로 자동 손절.
- 익절
- 1차 목표: 단기 저항(0.000787–0.000800) 재돌파 후 달성 구간. 2차 목표: 중기 저항대에서 부분 익절.
B. 방어 규칙(하방 이탈 시)
- 조건: 단기 지지(0.000733대) 명확 이탈 + 하방 거래량 증가 → 즉시 포지션 축소/전량 청산.
C. 단기 스캘핑(경험자용)
- 조건: 60분 볼린저 수축→확장 + 큰 방향성 캔들 & 거래량 동반.
- 액션: 타이트 손절(1–2%), 짧은 목표(1–3%)로 빠르게 진입·청산. 수수료·슬리피지 고려 필수.
6) 리스크 관리(구체 권장 수치)
- 포지션 크기: 계좌 자본 대비 포지션당 리스크 허용치 1–3% 권장.
- 손절 설정: 위 규칙에 따른 고정 손절(예: 최근 저점 기준) 또는 ATR×배수 방식 혼용 권장.
- 분할 매매: 진입·익절 모두 2–3회 분할로 수행해 변동성 리스크를 줄이기.
- 레버리지: 현재 구조에서는 사용 비권장(유동성·변동성 위험).
7) 매매 전·진행 중 체크리스트(항목별)
- 돌파 여부: 돌파가 ‘종가’로 확정되었는가? (허수 돌파 방지)
- 거래량: 돌파 캔들에 거래량이 평균 대비 유의미하게 증가했는가?
- 모멘텀: RSI·MFI가 동반 상승 중인가?
- 변동성: ATR이 돌파 시 상승하여 밴드가 확장되는가?
- 리스크: 손절가와 포지션 크기가 계좌 규칙(1–3% 리스크) 내인가?
8) 모니터링 우선순위(다음 24–72시간)
- 일봉 거래량의 회복(연속적 증가) 여부 — 전환 신호의 핵심.
- 일봉 종가가 0.000787–0.000800 구간을 안정적으로 넘는지 확인.
- RSI·MFI의 동반 상승 (모멘텀 강도 확인).
- ATR·볼린저 밴드 수축→확장 전환(방향 확정 신호).
- 단기 지지(0.000733) 이탈 시 즉시 손절 실행 여부 확인.
시온님, 정리하면 현재 차트는 저점에서의 기술적 반등 시도 단계입니다. 데이터상으로는 일봉·주봉·월봉 모두 중장기 저항이 남아 있고 거래량 회복이 핵심 변수입니다. 따라서 거래 시에는 “종가 기준 돌파 + 거래량 회복 + 모멘텀 동반”을 엄격한 진입 조건으로 설정하시고, 분할·타이트 손절로 리스크를 관리하시길 권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