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tcoin 25.10.21

in #bttc3 days ago

BTT/KRW(60분·240분·일봉) 차트 스크린샷을 바탕으로, 요청하신 대로 차트에서 확인 가능한 데이터만을 근거로 꼼꼼하고 단계적(절차적) 사고로 분석해드리겠습니다. 각 단계는 관찰 → 해석 → 명확한 실무 규칙(조건·액션) 순서로 제시하겠습니다. 불확실한 추정은 명확히 표기합니다.


1) 한눈 요약(요지)

  • 현재 표시가: 약 0.000760–0.000765. 최근 큰 낙폭 이후 저점권(약 0.000747–0.000756 주변)에서 횡보·반등 시도 중입니다.
  • 전체 구조: 일·240분 차트에서 이치모쿠 구름과 중장기 이동평균이 가격 위에 있어 상방 제약이 남아 있습니다(중·장기 관점은 약세 우위).
  • 모멘텀·자금: 일봉 RSI는 약 30대(약세권), 240분·60분 RSI는 더 높은 편이나 강한 모멘텀은 아님. MFI(거래대금 지표)는 전반적으로 강한 자금 유입을 보이지 않습니다.
  • 거래량·변동성: 급락 구간에서 거래량 스파이크 확인 → 최근 거래량은 평균 수준 이하~보통. ATR(변동성)은 급락 이후 안정화 방향.
  • 결론(요약적 권장): 프레임별 종가 기준 확실한 돌파(상방) + 거래량 회복 + 모멘텀 동반 상승을 확인하기 전까지는 보수적 관망 또는 소규모·분할 진입 권장.

2) 60분 차트 — 단계적 분석

  1. 관찰
  • 가격이 0.000750대 후반에서 0.000765 정도로 박스권 횡보(최근 구간). 단기 MA(5·10·20)가 밀집·교차.
  • 이치모쿠 단기 구름 일부가 가격 위·주변에 존재하여 단기 저항 가능성.
  • 60분 RSI ≈ 45~47(중립~약한 회복), 60분 MFI는 낮은 편. 최근 몇 개 캔들의 거래량은 큰 폭 회복은 아님(일시 스파이크는 존재).
  1. 해석
  • 단기적으로 ‘저점반등 시도’이나 상단(60분 기준)에서 저항이 있으며 거래량 동반이 약해 돌파 신뢰도 낮음. 밴드 수축은 향후 방향성 변화를 예고하지만 방향 미확정.
  1. 실무 규칙(60분 기준)
  • 진입 조건(보수적): 60분 종가로 0.000780 선(차트상 최근 고가 권역) 이상으로 마감하고, 해당 캔들에 거래량이 최근 평균 대비 ≥1.5배일 것.
  • 진입 방식: 조건 충족 시 전체 목표금액의 1/3로 진입 → 다음 60분~240분 동안 거래량·종가 지속성 확인 후 추가 분할 매수.
  • 손절: 최근 단기 지지(약 0.000747–0.000750) 아래로 이탈 시 손절(또는 60분 ATR × 1.5 적용).
  • 목표(초기): 단기 저항(약 0.000785–0.000800) 도달 시 부분 익절.

3) 240분 차트 — 단계적 분석

  1. 관찰
  • 240분에서 이치모쿠 구름 하단 및 중기 MA(60·120)가 가격 위에 위치(상방 저항). 최근 캔들들은 구름 아래에서 움직이며 좁은 범위 횡보.
  • 240분 RSI ≈ 41~42(중립~약세 쪽), MFI 중립 내지 낮음. 거래량은 급락 스파이크 이후 평균 이하.
  1. 해석
  • 중기적으로는 여전히 저항 우위. 중기 추세 전환을 인정하려면 240분 종가로 구름 상단·중기 MA군을 돌파해야 함.
  1. 실무 규칙(240분 기준)
  • 전환 조건: 240분 종가로 구름 상단 및 중기 MA(차트상 대략 0.000785–0.000800 근처로 추정)를 돌파하고, 해당 봉에 거래량 회복(평균 대비 ≥1.5배) 동반.
  • 액션: 조건 충족 시 분할로 비중 확대(초기 1/3 → 유지 확인 후 추가).
  • 방어: 240분 지지선(이미지상 약 0.000747대) 이탈 시 보유 축소·손절 검토.

4) 일봉 차트(장기) — 단계적 분석

  1. 관찰
  • 일봉에서 최근 대형 음봉(급락) 확인. 이후 일별로 저점권(약 0.000733–0.000756)에서 횡보. 일봉 RSI 약 30 내외(약세권), 일봉 MFI 낮음. 일봉 상 이치모쿠·장기 MA는 가격 위에 존재.
  1. 해석
  • 일봉 기준으로는 모멘텀·자금 흐름이 충분히 회복되지 않았습니다. 단기적 반등 가능성은 있으나 장기적 추세 전환을 주장하기엔 데이터가 부족합니다.
  1. 실무 규칙(일봉 기준)
  • 장기 전환 조건: 일봉 종가로 일봉 이치모쿠 구름 상단 또는 장기 MA를 뚫고, 그날의 거래량이 평소 대비 유의미하게 증가(예: ≥1.5배)해야 신뢰.
  • 장기 매수는 위의 일봉 조건 확보 전까지는 저비중·분할 매수로 리스크 분산.

5) 지지·저항(차트에서 확인 가능한 레벨)

  • 주요 단기 지지(관찰값): 약 0.000747–0.000750 (최근 아래꼬리·저점 군).
  • 당면 단기 저항: 약 0.000780 내외(60분 상단 캔들 고점 권역) — 보수적 돌파 기준으로 0.000780 이상 종가 필요.
  • 중기 저항(240분·일봉 상): 약 0.000785–0.000800(이치모쿠·중기 MA 근처).
  • 해석: 0.000747 이하로 이탈하면 추가 하방(다음 지지 확인 필요). 0.000780~0.000800을 종가 기준으로 확실히 넘을 때까지는 상방 신뢰도 낮음.

6) 지표 해석(데이터 기반 요점)

  • RSI: 일봉 약 30대(약세), 240분·60분은 비교적 높은 편이나 강한 트렌드 전환을 지지할 수준은 아님.
  • MFI: 전반적으로 낮아 자금 유입이 충분치 않음 — 상승 시 거래대금(거래량+MFI) 회복이 필요.
  • 거래량: 급락 시 스파이크는 분명하나 최근 반등을 뒷받침할 만한 꾸준한 거래량 회복은 관찰되지 않음.
  • ATR: 급락 후 변동성은 높아졌다가 안정화. 돌파 시 ATR 동반 상승이면 신뢰도가 높음.

7) 절차적 매매 체크리스트(진입 전·진행 중 반드시 확인)

  • 종가 확인: 돌파는 반드시 해당 프레임의 ‘종가’로 확정되었는가? (허수 돌파 방지)
  • 거래량: 돌파 캔들에 거래량이 최근 평균 대비 유의미하게 증가(예: ≥1.5배)했는가?
  • 모멘텀: RSI·MFI가 돌파 시점에 동반 상승하여 모멘텀을 지지하는가?
  • 변동성: ATR이 돌파와 함께 상승하여 밴드가 확장되는가?
  • 리스크: 손절가와 포지션 크기가 계좌 리스크 규칙(포지션당 손실 허용 1–3%)에 맞는가?

8) 구체적 예시(절차적 시나리오, 숫자 예시)

  • 보수적 진입 시나리오(권장)
    1. 조건: 60분 종가 > 0.000780 AND 거래량 ≥ 최근 20봉 평균의 1.5배.
    2. 액션: 목표금액의 1/3 진입 → 60분·240분 연속 확인(종가 유지·거래량 지속) 시 추가 1/3 진입 → 완전 확증 시 잔여 진입.
    3. 손절: 진입가 대비 손실 허용범위를 계좌 리스크 기준(예: 최대 2% 손실)로 계산하거나, 최근 단기 지지(0.000747) 아래로 자동 손절.
    4. 익절: 1차 목표 0.000800(단기/중기 저항), 2차 목표 0.00086~0.00090(중기 저항대 도달 시 부분익절).
  • 방어적 시나리오(하방 이탈)
    • 조건: 60분·240분에서 지지(0.000747) 하향 이탈 + 하방 거래량 증가 → 즉시 전량 청산 또는 비중 급감.

9) 모니터링 우선순위(다음 24–72시간)

  1. 60분·240분에서 돌파 시 ‘종가’로 확정되는지 확인(특히 0.000780–0.000800 구간).
  2. 돌파 캔들에 거래량이 평균 대비 상승(≥1.5배)하는지 확인.
  3. RSI·MFI가 동반 상승하여 모멘텀이 강화되는지 관찰.
  4. ATR·볼린저 밴드의 수축→확장 전환이 동반되는지 확인.
  5. 단기 지지(약 0.000747) 이탈 시 즉시 손절 실행 준비.

Screenshot_20251021-093708.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