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ffee-extract2] MAHLKONIG EK43 개봉기steemCreated with Sketch.

in #busy6 years ago

안녕하세요 오늘은 커피추출용 그라인더인 말코닉사의 EK43 개봉기를 포스팅하겠습니다. 로스팅을 하다보니 나의 로스팅 결과물에 대한 객관적 검증과 문제점을 찾고 싶은 생각이 많았습니다. 그런 것들이 가능하려면 일관되고 왜곡되지 않은 추출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였습니다. 그러기 위해선 다양한 변수들을 통일하여 똑같이 추출하면 어느 정도 해결되겠지만 그라인딩은 달랐습니다.

MIN08945.jpg

기존의 그라인더들을 몇 년째 만족스럽게 사용하면서 그라인딩의 성능에 대한 검증을 해볼 생각을 하지 않았습니다. 저의 스승님과 함께 로스팅 결과물에 대한 테스트 중 Kruve shifter를 이용해서 입자의 균일도를 측정해 보았습니다(Kruve shifter는 균일한 커피입자들로 나누어 주는 체입니다. 통 안에는 구경이 다른 체들이 있고 이 도구를 흔들어주면 아랫쪽엔 미분, 위로 갈수록 큰 커피입자를 모아줍니다.)

Kruve shifter
P20180312_133715379_8DE363C7-241E-4393-8DD0-0DEA69F7DFCF.JPG
P20180312_133721016_EDA2B061-BEED-4C46-B6DB-F6B7F779B59F.JPG
P20180312_133744507_22216AAC-4E5E-445D-9505-7A682A92034F.JPG
P20180312_133821564_CC02A0E8-F4FE-4A93-8E43-B7EFD4AB20AA.JPG
P20180312_133826534_315DC7BD-854D-4BF2-842C-B18CAA33CC4A.JPG

커피입자의 분포가 너무 커서 제가 원하는 크기의 커피입자량은 굉장히 적었습니다. 미분은 어느 정도 있을수밖에 없지만 큰 입자들이 많아서 맛에 대한 왜곡이 생길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kruve를 이용해서 일정하게 입자를 골라내어 추출을 하는 방법도 해봤지만 커피 손실이 좀 많이 발생했습니다. 또한 미분의 함량에 대한 고민도 시작되었습니다. 보통 미분을 완전 제거하여 클린한 맛을 구현하려고 많이 시도하지만 막상 미분이 완전 사라지게 되면 커피의 풍미와 맛의 복합성이 많이 사라져서 매력이 떨어지게 됩니다. 미분을 어느정도 넣을것인가? 입자분포를 어느 정도에 맞출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깊어질수록 한 번에 해결할 방법을 찾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EK43 그라인더를 구매하게 되었습니다. EK43 그라인더는 97mm 플랫버를 사용하고 있으며 커피입자 분포가 크지 않다는 평이 많습니다. 리테일 그라인더로 드립 및 푸어오버용으로 바리스타들이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고른 입자로 인해 추출수율을 높이는데 효과적이라는 평입니다. 약배전 /노르딕 로스팅을 주로 하는 제 입장에선 사용하기 좋은 그라인더인 것 같았습니다.

MIN08925.jpg

조금이라도 빨리 받고싶어서 택배사에 가서 직접 가져왔습니다. 많이 무겁더군요. 본체 무게만 24kg입니다. 포장무게가 더해지고 특별히 손잡이가 없으니 정말 무겁게 느껴졌습니다.

MIN08931.jpg
MIN08935.jpg
MIN08939.jpg
MIN08944.jpg

박스에서 제품을 꺼내는것도 힘들더군요. 우여곡절 끝에 제품을 꺼내서 살펴보니 EK43의 모습이 드러났습니다. 바디와 마감이 참 잘 되어있었습니다. 볼트 하나하나가 섬세하게 조여있었으며 자동풀림에 대한 대비도 되어있더군요. 중고제품, 수리때문에 볼트를 한 번 손대면 흔적이 남을 수 있게 한 것 같았습니다.

MIN08952.jpg

가로/세로/높이가 230mm/410mm/770mm로 크기가 굉장히 큽니다. 특히 호퍼통을 결합하니 원두를 넣는 곳이 높아 다소 부담스러웠습니다. 1740rpm에 걸맞게 전원을 넣었을때 소리도 컸습니다.

MIN08953.jpg

원두가루가 나오는 입구입니다. 오른쪽편에 레버가 있는데 레버를 살짝 아래로 내렸다가 놓으면 입구에 남아있는 잔존원두입자가 나옵니다. 입구를 터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봉투를 살짝 끼워 그라인딩된 원두를 바로 포장할 수도 있습니다.

MIN08954.jpg

그라인딩을 조절하는 다이얼입니다. 1로 갈수록 그라인딩을 미세하게 숫자가 커질수록 입자가 굵게 갈립니다. 푸어오버로 테스트해보니 기준 목표 시간대를 3분 내외로 잡았을때, 20g=3//30g=3.5~4.5//50g=7~8//55g=8.5 정도가 나왔습니다.

MIN08955.jpg

말코닉 회사의 로고입니다. 말코닉은 독일 그라인더 회사로 유명합니다(Ek43은 세계바리스타챔피언쉽에 출전하는 바리스타들이 가장 사랑하는 그라인더 중 하나이며, 2017년 대회 1위 수상자 데일 해리스는 말코닉사의 k30을 사용하였습니다. 바리스타들이 원하는 결과물을 잘 표현할 수 있게 제품을 만드는 회사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EK43은 말코닉사의 베스트 상품 중의 하나로 예전부터 핸드드립/푸어오버용 그라인더로 많이 사용되어 왔습니다. 이 기기는 2013년 맷 퍼거가 이 그라인더를 사용해 추출한 에스프레소를 세계바리스타챔피언쉽에 선보이면서 더 유명해졌습니다. 그 이전엔 매장에서 에스프레소용으로는 쓰기엔 불편한 점이 많았고 장점이 크게 드러나지 않았던 기기였습니다. 스캇 라오 등이 매장에서 사용하던 기기인데 세계대회를 준비하고 있던 맷 퍼거는 EK43을 보고는 자신이 찾던 답을 찾게 됩니다. 추출수율을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늘리는 방법이었죠. Ek43은 아주 균일하게 그라인딩이 가능한 기기입니다. 그리고 균일한 그라인딩과 함께 미분도 많이 나오는 기기이기도 합니다. 그라인딩시 발생하는 다량의 미분조차도 입자분포가 몰려있으며 전체적으로 아주 균일한 그라인딩 결과물이 나오게 됩니다. 그 영향으로 추출수율을 안정적으로 높여, 약배전 원두들의 추출수율을 높여 단맛의 비율을 높이면서 맛의 복합성과 밸런스를 맞추는데 크게 기여하게 됩니다. 맷 퍼거의 바리스타 허슬에서도 이와 같은 설명들이 나옵니다. 맛있는 에스프레소를 찾기 위해 추출수율을 높여가며 여러가지 시도를 하는 영상이 있는데 Ek43은 추출수율을 효과적으로 컨트롤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실제로 테스트 결과 향미와 맛에 있어서 더 좋은 영향을 주는 것 같았습니다.

MIN08957.jpg
MIN08958.jpg

그라인딩 테스트를 해 보니 균일도가 상당히 좋았습니다. 개인적으로 미분보다는 큰 원두입자가 맛과 향미에 더 나쁜 영향을 준다고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테스트 결과는 큰 입자들이 많이 없었으며 미분도 적당히 나와 만족감이 좋았습니다. 같은 시간동안 추출하였을때 TDS도 더 높게 나왔는데 입자가 고르기 때문에 원두가루 속 물길이 잘 만들어졌기 때문이 아닐까합니다. 마치 자갈로만 된 화분에 물을 넣었을때 물빠짐이 더 잘 되는 원리처럼 말입니다. 푸어오버 추출시 좀 더 많은 입자들이 물에 노출되어 추출수율이 늘어난 것 같습니다. 앞으로 테스트 결과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글을 쓸까 합니다. 그라인딩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관심있게 봐주세요!!

오늘은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Sort:  

아- 원두를 세밀하게 갈아야 더 좋은 향과 맛이 나는 건가요? 저는 프렌치프레스를 주로 이용하다보니 조금 굵게 갈아서 먹는 편입니다. 울랄라 님 포스팅 보다보면 내가 뭘 모르고 너무 커피를 막 마시고 있구나 하는 생각도 들어요.^^;;

오랜만에 들렸어요. 3월은 참 바쁩니다. ㅠㅠ 잘 지내시지요-

^-^ 잘 지내셨죠?? 저도 최근에 일때문에 좀 찾아뵙지 못했어요....죄송해요
프렌치프레스는 굵게 갈아서 드시는게 좀 더 편하고 좋습니다. 프렌치프레스내리실 때 팁을 살짝 드리자면, 굵게 갈아서 뜨거운 물을 부으면 원두거품이 표면에 층을 이루게 됩니다. 그대로 4분간 두시고 4분이 지나면 이 층을 스푼을 이용해서 살짝 저으면서 깨어주시는게 좋아요. 그대로 프렌치프레스 뚜껑을 덮어 10분정도 더 기다려주세요(굵은 원두가루가 좀 더 추출이 오래걸리기도 하고 미분을 가라앉히기 위해서이기도 합니다)
마지막이 제일 포인트입니다. 프렌치프레스 필터를 누르지 말고 커피수면까지만 닿게 하시고 그대로 컵에 천천히 부으셔서 드시는 겁니다. 필터를 바닥까지 누르게 되면 미분이 움직여서 컵에 많이 쌓이게 되고 컵에 오래두시고 마시면 미분이 텁텁한맛과 과추출된 맛을 느끼게 해줍니다.

이렇게 추출하시면 컵에 미분이 상당히 적게 포함되고 추출수율도 꽤 괜찮게 나옵니다 ^-^!! 맛도 클린하구요.

우와 좋은기계 사셨네요. 커피는 잘 모르지만 정독하였습니다. 역시 꼼꼼하고 세심한 스승님에게 어울리는 기계 같습니다. ㅋㅋ

오늘의 질문
소시지 케이싱이 얇은 애들은 조리중에 지멋대로 벗겨지고 둘둘 말리잖아요. 그럴땐 칼집을 어떻게 내는게 좋을까요. 그냥 다신 그 제품을 안사는게 좋을까요.
스승님께 현답을 구합니다요. ^^

다음에 소세지 포스팅할게요!~ ^-^ 내주신 과제 열심히 하겠습니다.

아이고 스승님. 괜찮다 말하고 싶지만 포스팅 너무너무 기대됩니다. 큽

커피 가는것 까지도 맛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군요. 저는 그저 작은 블라인더로 갈아 마셨는데 .. 이렇게 좋은 기계를 쓰는 이유가 있네요 ^^ 좋은 포스트 잘보고갑니다

옥자님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얼마나 기다리던 기계면
직접 택배사에 찾아가서 가져올 정도셨는지요!

끊임없이 고민하고 노력하는 모습이 참 대단하고, 훌륭하십니다!!

좋게 봐주셔서 정말 감사해요 ^-^

와^^커피에 대한 열정이 대단하신거 같아요..
진한 커피향이 여기까지 느껴지는거 같아요ㅎ
정성들인 커피맛은 어떨지 궁금하네요~^^

부드럽고 다른 음식과 곁들이지 않고도 맛이 있는/식어도 맛있는 커피를 만들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 좋게 봐주셔서 감사해요!

우와....
커피쪽 업에 종사하시나봐요.
이런 기계가 집에!! 우와...

그냥 나중엔 하게 될 것 같아서 하고 있습니다 ^-^

저도 얼마전에 사용하지않는 커피그라인더를하나 중고로 팔았는데
이 그라인더는 전문적이여보여요 고급스럽네요!!ღ'ᴗ'ღ

네 마감도 재질도 상당히 잘 만든 제품이더군요. 그라인딩 균일도도 상당히 수준높고, 출력에 비해 안정감도 높았습니다. ^-^

와 무게가 24키로나.... 그 무거운걸 직접 받으러
갈 정도라니ㅋㅋㅋ 울랄라님 커피에 대한 열정이
더 느껴져용🖒 사진으로 봐두 입자가 고르다는게
느껴지는데 왠지 맛도 더 부드러울 것만 같아요^^

예전 그라인더보다 맛이 좀 더 일관성있고 추출되고 단맛/단향의 비중이 좀 더 높아진 것 같습니다. ^-^ 좋게 봐주셔서 감사해요

(´⊙ω⊙`) 제 라파보니랑 어울릴것 같아 너무 찾아보니 2,700불~ 후덜덜 ~ 그런데 갖고싶네요..B904FE76-F0FD-44EC-91FA-8E1CEBA38417.jpeg

정말 멋진 기기를 가지고 있으시네요. 라파보니 제 워너비 모델입니다. ^-^ 수동 에스프레소 머신을 늘 가지고 싶었는데....정말 멋스럽네요. 사용하기 불편하진 않으신지 궁금하네요.

(^◇^)제가 가진 라파보니는 오래된 기종인데도 기계자체가 단순해서 그런지 잘 작동됩니다. 그런데 요즘에는 네스프레소머신때문에 요즘엔 거의 사용하지않고 방치중입니다. 나중에 기회가되면 라파보니만 4대정도 두고 카페를 해보고 싶네요. 현실성은 하나도 없지만 상상만 해봅니다.

그라인딩의 결과물이 달라졌으니 로스팅 할 때 프로파일링도 새로 해줘야겠네요.
맛이 더 뚜렷하게 나올 것 같습니다.

네 최근 로스팅머신, 싸이클론 청소, 그라인더 교체 등으로 기존 프로파일이 모두 쓸모가 없어졌어요...5년간 모은 프로파일을 모두 폐기했습니다. 새로 자료를 모으고 있는데 좀 허탈하기도 하고...제 실책에 대해 반성도 하고 그렇네요 ㅠ.ㅠ

Coin Marketplace

STEEM 0.27
TRX 0.11
JST 0.030
BTC 69650.24
ETH 3776.55
USDT 1.00
SBD 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