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나라의 방책’ 찾아 천하를 헤맨 김춘추
<삼국지>에 나오는 일화야. 관우를 죽인 뒤 성난 유비의 공격에 직면한 오나라 주인 손권은 위나라의 황제 조비에게 사신을 보내 동맹을 청한다. 사신은 조자(趙咨)라는 사람이었어. 조자의 목적을 훤히 알고 있던 위나라 황제 조비는 위협적인 말을 던져. “만약 짐이 오나라를 치려 한다면 어떻게 하겠는가?” 그러자 조자는 이렇게 맞받아. “큰 나라에는 작은 나라를 정복하는 무력이 있고, 작은 나라에는 큰 나라를 막는 방책이 있는 법입니다.”
실로 명답이 아닐까. 너희는 큰 나라, 우리는 작은 나라라고 인정하는 것 같지만 결코 비굴하게 굴지 않고 힘의 차이를 인정하면서도 자신의 존재감을 과시하고 있잖아. 그런데 이는 우리 조상들이 대륙의 패권자에게 해왔던, 그리고 할 수 있었던, 해야 했는데 하지 못했던 말이기도 해. 남북 정상회담부터 북·미 정상회담까지 세계사적으로 격변이 될 사건들을 앞두고 우리는 조자 이상으로 ‘작은 나라의 큰 방책’을 세워나가야 할 때가 아닌가 싶구나. 그런 뜻에서 우리 역사 속에서 덩치 큰 나라들을 상대하며 숨 가쁜 담판을 펼친 이들의 이야기를 해보려고 해.
삼국시대. 7세기 중엽의 신라는 크나큰 위기를 맞았어. 백제 의자왕의 파상 공세가 계속됐고 급기야 642년 신라의 최대 요충 대야성이 함락되지. 이 성을 지키던 김춘추의 사위와 딸도 목숨을 잃었고. 이 소식을 들은 김춘추의 모습이 <삼국사기>에 묘사되어 있단다. “기둥에 기대서서 눈도 깜박이지 않았고 앞에 사람이나 무엇이 지나가도 알아보지 못했다.” 그러던 김춘추는 분연히 부르짖어. “사내로 태어나 어찌 백제를 멸하지 못하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