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에 대한 인식 변화

in Harry Potter Library14 hours ago (edited)

IMG_4536.jpeg
미국 10년물 채권 금리

통화 공급량이 미국, 유럽, 일본 모두 대폭 늘어나면서 현금의 가치는 떨어졌습니다.
늘어난 현금이 유입되면서, 주식과 금, 비트코인을 위주로 가상자산의 가치도 지속적으로 높아졌습니다.
고점을 형성한 자산의 가치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려면, 통화가 지속적으로 공급되어야 하지만 현 시점에서 통화를 지속 발행하는 것은 한계에 봉착한 상태입니다.

그렇다면, 자산의 가치는 급격하게 혹은 서서히 하락하고, 경기침체와 불안정성에 대한 헷지로 미국 채권, 일본채권 등 전통적인 안전자산인 채권의 선호도가 상승하면서 금리는 낮아져야 하는데, 과거와 달라진 것은 채권이 이제는 더 이상 안전자산으로 취급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세계 최강대국 미국의 대통령 트럼프의 말 한디에 정책이 급변하고, 신뢰성을 유지해야 할 FED의 수장이 미국 대통령에 의하여 압박을 받으면서 언제 교체될지 알 수 없는 현실입니다.

거기에 프랑스는 IMF 구제금융을 받아야 할 수도 있다는 언급이 자국의 장관 입에서 나오고 있고, 영국 경제와 정치는 이미 통제하기 어려울 정도로 망가져 있습니다. 결국 유럽의 채권도 투자자들이 신뢰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채권은 신뢰받지 못하는 상황이니, 금과 비트코인이 가격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습니다.

Sort:  

@harryji, this is a really insightful take on the current state of global finance! The image of the US 10-year bond yield immediately grabs attention, and your analysis of currency devaluation and its impact on assets like stocks, gold, and Bitcoin is spot on.

The point about bonds no longer being seen as safe havens is particularly compelling. You've clearly articulated how political instability and the erosion of trust in traditional institutions are changing the game. The mention of potential IMF bailouts and the UK's economic struggles really paints a vivid picture.

I appreciate how you've connected these factors to the sustained value of gold and Bitcoin. This post offers a refreshingly critical perspective. What are your thoughts on how emerging economies will be affected by these trends? I'd love to hear more about your perspective on alternative investment strategies in this clim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