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상식 #6-2] 탈중앙 금융 (Decentralized Finance, DeFi) 바로 알기

2년만에 스팀잇에 글을 썼더니 많은 것이 변했네요. 아마 SMT가 활성화 되면서 각각의 hash tag 커뮤니티 플랫폼이 생긴 모양이군요. 각기 다른 tag가 서로 독립적인 주체가 될 수 있게끔 한번에 여러 태그에 노출되지는 못하게 설계된 것 같더라구요. 개인적으로 스팀잇 커뮤니티가 여러 갈래로 나누어지기엔 아직 너무 작다는 생각이 들어서 조금 아쉽네요.

여튼 저는 최근 탈중앙 금융에 대한 포스팅을 하고 있습니다! 이전 포스팅을과 이어집니다. 처음부터 차근 차근 읽어가시려면 이전 포스팅을 먼저 확인해주시길 바랍니다. 이전 포스팅에서는 DeFi의 시작점, 18년 초부터 등장했던 DeFi가 왜 이제서야 각광받게되었는지 등에 대해 다뤘습니다.

  1. [블록체인 상식 #6-1] 탈중앙 금융 (Decentralized Finance, DeFi) 바로 알기: DeFi의 시작과 한계

탈중앙 금융의 열쇠, Automated Market Maker (AMM)


AMM의 핵심은 유동성 풀을 채워넣는 공급자, 그리고 트레이더가 지급하는 수수료 인센티브에 있습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Uniswap의 등장이 DeFi 성장의 큰 역할을 했다고 간단히 소개드렸는데요. 그 진짜배기 성장의 비밀은 automated market maker 라는 자동화 프로토콜에 있습니다. 사실 Uniswap에 최초로 적용된 프로토콜은 아니고, 더 거슬러 올라가면 카이버 네트워크 프로젝트가 있습니다. Uniswap과 카이버 네트워크의 차이에 대해서는 잠시 뒤에 이야기해보도록 하고 먼저 AMM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일단 market maker는 생소한 개념이 아닐 것입니다. 보통 시장의 호가를 먼저 생성하는 사람을 maker라고 부르고 이 호가에 동의하여 체결하는 사람은 taker라고 부르는데요. market spread(매수 호가 최고가와 매도 호가 최저가의 차이)를 줄이기 위해 보통은 maker의 fee가 taker에 비해 적은데요. 볼륨이 아주 큰 선물 거래소 같은 경우 매우 큰 유동성 때문에 spread가 쉽게 벌어지는데요. 이 경우 maker에게 fee를 부과하지 않고 오히려 소정의 프리미엄을 지급하기도 합니다. 유동성 공급자에 대한 보상 개념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업비트의 호가창입니다. 캡처한 창의 market spread는 550원이군요. 이 spread는 좁을 수록 이용자에게 좋겠죠. spread가 좁아지는 것을 유도하기 위해 maker의 fee를 내려주는 방법을 보통 사용합니다. 큰 유동성 확보가 필요하다면 maker에게 오히려 프리미엄을 주는 형태의 마켓(bitmex)도 있습니다.

Automated market maker라는 것은 단어 그대로 자동화된 market maker라는 의미입니다. 유동성 공급자가 market maker 역할을 하고, 호가는 유동적으로 스마트 컨트랙트에 따라 자동으로 변화합니다. 그리고 market taker가 지불하는 거래 수수료는 모두 maker에게 지급됩니다. 이 시스템에서 중간 수수료를 챙기는 중개인은 탈중앙 플랫폼 시스템의 구성원(예: 이더리움 채굴자)이 되겠네요. 호가의 유기적인 변동을 살펴보고 AMM을 더 잘 이해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많이 헷갈리고 복잡하니 정신을 바짝! 차리셔야합니다.

유동성 풀을 통한 거래의 핵심은 거래 전/후로 두 토큰 개수의 '곱셈'이 일정하게 맞추는 것입니다. 예를들어 ETH-DAI Pool이 있다고 해보겠습니다. 이 Pool은 (ETH 갯수)*(DAI 갯수)가 불변 상수이도록 설계됩니다. 먼저 아래 그림처럼 Pool 안에 ETH 1개와 DAI 100개가 있다고 해보겠습니다. 그럼 그 곱은 100입니다. 트레이더가 이 Pool의 유동성을 이용해서 DAI 100개로 ETH를 사려고 합니다. 이는 Pool에게 DAI를 판매하는 것이므로, 일단 DAI 100개가 Pool으로 들어가는 것은 확정입니다. 그럼 이제 Pool안에는 DAI 200개가 있습니다. 앞서 말했듯, 두 코인의 갯수 곱은 일정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그러므로, 100/200=0.5 개의 ETH가 Pool에 남아 있어야합니다. 그 말은 트레이더가 0.5개의 ETH을 Pool에게 받는다는 이야기가 되는 것이죠.

이해를 돕기 위한 트레이딩 예시입니다. 유동성 풀을 통해 ETH-DAI 스왑 비율이 어떻게 자동으로 정해지는지 더 직관적으로 볼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트레이더는 DAI 100개를 Pool에 지불하고, Pool로 부터 0.5개를 돌려 받게 되므로 1:200의 교환 비율로 토큰을 스왑한 것이 됩니다. 눈치 빠르신 분들은 아셨겠지만, 스왑 비율의 결정에는 유동성 풀이 어떤 비율로 구성되어 있는지뿐만아니라 풀 자체의 사이즈와 트레이딩 볼륨도 깊게 관여합니다. 만일에 같은 유동성 풀을 통해 아주 소량의 DAI (1개)로 ETH를 매수한 사람은 거의 1:100에 가까운 교환 비율로 ETH를 매수하게 됩니다. 볼륨에 따른 가격 변동을 slippage라 부르는데요. 당연하게도 트레이더 입장에서 이 slippage는 피하고 싶은 요소중 하나일 것입니다.

유동성 공급 인센티브와 혁신


유동성 풀을 통한 AMM 토큰 스왑의 가장 큰 혁신은 필요한 '트랜젝션 횟수'에 있습니다. 기존의 호가창 기반 DEX에서는 스마트 컨트랙트기반 트랜젝션을 무분별하게 사용해야했습니다. 호가를 올리는 행위에도, 체결하는 행위에도, 그리고 호가를 취소하는 행위에도 모두 트랜젝션이 필요합니다. 그 때마다 채굴자에게 수수료를 지급해야하는 것도 부담이지만, 이 막대한 트랜젝션 수는 플랫폼 체인에게도 큰 부담이 됩니다. 일종의 DDoS 공격으로 생각될만큼 많은 트랜젝션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반면 AMM기반 토큰 스왑은 Market taker가 1회만 트랜젝션 하면 거래가 체결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그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됩니다.

유일한 장벽은 토큰 스왑에 대한 slippage가 되겠죠. slippage가 너무 크면, 보통은 트레이더가 손해를 보기 때문에 사용성 확대를 위해서는 이를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Slippage를 줄이려면, Pool 자체의 사이즈가 커져야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유동성 확보가 중요하게 되는데요. 유동성 확보를 위해 유동성 공급자에게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 그 인센티브는 거래 수수료가 될 것이고, 이는 market taker인 트레이더에게서 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일종의 중앙화 된 거래소 역할을 한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만일 Bitcoin 생태계를 믿고, Ethereum의 장래를 믿는 사람이 있다면 단순히 코인을 Holding하는 것보다 유동성 풀에 공급해서 수수료를 챙기는 것이 이득이 된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가장 선호되는 풀은 어떤 곳일까요? 아마도 ETH-StableCoin 쪽이 되겠죠? 아래 그림에 Uniswap의 유동성 풀 규모 랭킹 리스트를 뽑아와봤습니다. 2-4위는 모두 ETH와 stable coin으로 알려진 USDC(coinbase USD코인), DAI(MakerDAO USD코인), 그리고 USDT를 페어링한 풀입니다. 그리고 5위는 SBTC(Synthetic BTC 코인)과 페어링했네요. 일리가 있는 선택입니다. ETH를 믿는 사람이라면 BTC도 믿을 가능성이 높으니까요.

ETH-AMPL가 1위인 것이 눈에 띄네요. AMPL 코인은 생소한데 왜 이것이 1위인지는 다음 글에서 살펴보겠습니다.

마켓쉐어는 DEX로 이동 중


유동성 풀이 커지면 커질 수록, AMM이 감당할 수 있는 볼륨도 커집니다. 현재 2위에 해당하는 유동성 풀의 유동성은 총 200억에 가까운데요. 웬만한 투자자들의 1회 거래 자금의 규모이 1천만원 이하라고 생각해본다면, 거의 slippage는 무시할 수 있을정도가 됩니다. 사실 이런 구조의 건강한 양성피드백이 한번 터지게 되면 폭발적인 성장을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폭발적인 성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Coingekco 기준 Uniswap은 현재 167,953,789$의 거래량을 보여주고 있는데요. 이는 Binance의 거래량 3,046,787,018$ 에 비해면 아직 5%수준의 거래량이지만, 업비트나 빗썸같은 한국 거래소의 거래량 대비해서는 50%가까이나 됩니다. 앞으로의 꾸준한 성장세를 기대해본다면, 마켓쉐어 싸움이 치열하게 일어나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도 생깁니다.

그러나 이 DeFi기반 DEX 시스템에 한계점이 없는 것은 결코 아닙니다. 한계점은 역시 트랜젝션 수수료 문제(Geth)입니다. 트랜젝션 필요 회수를 1회로 줄인 것은 큰 혁신이었지만, 그래도 볼륨이 커지면 체인에 큰 부담이 될 수 밖에 없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 글에서 더 자세히 다뤄보겠습니다.

맺음말


건강하고 재미있는 블록체인 커뮤니티가 되기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Coin Marketplace

STEEM 0.29
TRX 0.13
JST 0.033
BTC 62981.24
ETH 3034.31
USDT 1.00
SBD 3.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