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ST] IOST의 핵심 기술 3가지

in #iost6 years ago

Basic.png
안녕하세요 IOST Korea입니다.
많은 프로젝트들이 있고 각각의 근간을 이루는 기술들은 조금씩 다른데요.
오늘은 IOST가 가지고 있는 차별화되는 기술 3가지에 대해서 정리해서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PoB(Proof of Believability)

[POB의 등장 배경 – 새로운 블록 검증방식의 필요]

거래를 하나하나 검증하는 과정에서, PoW는 전기를 낭비하고 투기를 조장한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고 PoS는 블록체인의 목적인 탈중앙화의 성격에서 벗어날 수도 있다는 한계점을 가지게 됩니다. PoS는 많은 자산을 가진이들일수록 검증으로 인한 보상을 받을 확률이 높기에 , 크립토계의 부익부 빈익빈을 심화시킨다는 비판도 받고 있지요.

또한 최근 떠오르고 있는 DPoS는 블록체인 기술의 핵심인 ‘탈중앙화’에서 벗어나 오히려 중앙집중화를 추구한다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습니다. 소수의 슈퍼노드 혹은 증인들 만이 검증에 참여할 수 있다는 것은 탈 중앙화의 이상에서 크게 벗어난 것으로 보입니다.

[신뢰를 기반으로 한 검증시스템, PoB]

IOST가 채택한 PoB는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해당 IOST의 보유량뿐만 아니라 노드의 신뢰지수( Believability)까지 측정하여 신뢰도가 가장 높은 노드에게 거래를 검증할 수 있는 권한과 혜택을 부여합니다.

즉, 쉽게 말해서 신뢰도 가장 높은 노드가 블록체인 상에 발생하고 있는 거래가 올바른지 검증하고, 검증의 대가로 인센티브를 받게 되는 것입니다.

PoB의 신뢰도를 어떻게 정의하고, 측정하며, 독점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와 관련된
보다 자세한 PoB의 관련된 내용을 확인하고자 하시는 분들은 아래 링크를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https://blog.naver.com/iostoken_kr/221278144699

Servi Token

IOST의 보유량뿐만 아니라 노드의 신뢰지수( Believability)까지 측정하여 신뢰도가 가장 높은 노드에게 거래를 검증할 수 있는 권한과 혜택을 부여한다고 말씀드렸는데요.

Servi는 측정된 기여도와 신뢰도를 측정하는 토큰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본격적으로 IOST의 핵심 기술, Servi Token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servi는 어떤 용도로 쓰일까?]

우선 Servi토큰은 IOST 생태계 내에서만 이용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IOST의 독자적인 기술인 PoB구현에 이용되는 토큰이기 때문입니다. 간략하게 PoB는 생태계 내에서 노드의 기여도와 신뢰도를 측정하여 신뢰도가 높은 노드 중 일부에게 랜덤으로 검증자 역할을 부여하는 검증방식입니다. 이때 측정된 기여도와 신뢰도가 Servi 토큰으로 전환됩니다. 시스템 내에서 기여도와 신뢰도가 높을수록, 긍정적인 행동을 많이 할수록 Servi 토큰이 쌓이게 되는 것입니다. 즉 Servi 토큰은 각 노드의 신뢰도를 표시하기 위한 용도로 쓰이게 됩니다.

[Servi를 어떻게 획득할 수 있는가?]

Servi가 신뢰도를 표시하기 위한 토큰인 만큼, IOST의 생태계 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고 기여를 많이 할수록 얻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IOST 생태계를 통해 기부를 하여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되면 servi가 지급되게 됩니다. 또한 IOST 생태계에서 많은 활동을 함으로써 servi 토큰을 얻을 수도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Jimmy 는 이전 인터뷰에서 다음과 같은 노드들이 servi를 얻게 된다고 예시를 들었습니다.
▶ IOST를 오래동안 보유한 경우
▶ IOST를 이용한 거래에 활발하게 참여한 경우
▶ IOST를 다량 보유한 경우

그 외, Servi의 특징과 생태계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서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https://blog.naver.com/iostoken_kr/221284078192

Atomix 프로토콜

마지막으로 IOST의 핵심기술 Atomix 프로토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아토믹스 프로토콜은 어떻게 활용될까?]
  1. 이중지불을 미연에 방지하고 사용 됩니다.
  2. 트랜잭션의 일관성을 유지하는데 활용 됩니다.

특히 IOST의 아토믹스 프로토콜은 UTXO를 기반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UTXO란 무엇인가?]

UTXO란 모든종류 암호화폐의 시조격인 비트코인에서 사용된 상태모듈입니다. Unspent Transaction Output 의 약자로 비트코인 거래에서 발생한 모든 기록을 '송금의 형태'로 남겨놓는 것입니다.

*조금 자세히 설명을 하고자 한다면 너무 길어질 수 있으니,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해 주세요.

[다른 블록체인 프로젝트와 아토믹스의 차이는?]
다른 블록체인 프로젝트에서는 이중지불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샤딩기술을 이용합니다.(IOST도 샤딩기술을 적용할 계획입니다) 그러나 샤딩기술 만으로는 이중지불 문제를 완벽하게 해소할 수 없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예를 들어 100개로의 노드중 99개의 노드가 거래검증을 성공한다고 해도 마지막 1개의 노드가 검증에 실패한다면, 이로 인해 예상치 못한 변수가 발생해 네트워크에 피해를 입힐 수 있습니다.

따라서 IOST는 만일에 사태에 미리 대비하고자 노드들을 원자단위로 쪼갠 뒤, 샤드단위로 다시 묶어놓았습니다. 각 거래를 원자 단위로 쪼개서 각 거래가 실시간으로 융통성있게 진행되도록 합니다. 이렇게 “원자(Atom) 단위”로 쪼개져서 거래를 처리하기에 아토믹스라는 이름이 붙게 된 것입니다.

image.png

아토믹스는 이렇게 사전에 먼저 원자단위로 쪼개진 노드에 의해 검증받고 거래를 처리해, 검증을 처리하는 대기 시간을 최소화합니다. 또한 새로운 노드가 등장하거나 거래가 예기치 못한 상황으로 중단되었을 경우에도, 해당거래를 원자단위를 기준으로 빠르게 복구할 수 있습니다.

그 외, 아토믹스의 특징과 생태계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서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https://blog.naver.com/iostoken_kr/221294663578


지금까지 IOST가 가지고 있는 핵심 기술들을 정리해서 전달해 드렸습니다.
IOST는 위의 3가지 기술들을 활용하여 확장성과 보안성을 담보하는 탈 중앙화 된 플랫폼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다음편에는 IOST의 투자자들에 대해서 알아보는 포스팅을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IOST 공식 홈페이지 : http://iost.io
Steemit: https://steemit.com/@iostoken-kr
Facebook : http://bit.ly/IOSTKr_fb
Twitter : http://bit.ly/IOSTKr_twitter
Kakao : http://bit.ly/IOSTKr_kakao (iost987)
Telegram : http://bit.ly/IOSTKr_telegram

Sort:  

이오스 계정이 없다면 마나마인에서 만든 계정생성툴을 사용해보는건 어떨까요?
https://steemit.com/kr/@virus707/2uepul

Coin Marketplace

STEEM 0.27
TRX 0.11
JST 0.030
BTC 70453.17
ETH 3808.25
USDT 1.00
SBD 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