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 몰라요 #1] 머니볼

in #kr-baseball6 years ago (edited)

안녕하세요 :) 오늘부터는 @joceo00 님이 개최하는 제2회 천하제일연재대회에 참여하며 <야구, 몰라요>와 <코인, 몰라요> 시리즈를 연재합니다.

“야구, 몰라요”는 하일성 전 야구해설위원의 유행어입니다. 드라마틱한 역전이 있을 때나 본인 예측이 빗나갔을 때 “아~ 야구 정말 몰라요”라며 자주 쓰던 말인데요. 쉽게 예측이 불가한 야구판이나 코인판에 잘 어울리는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야(구)알못, 코(인)알못인 저의 시점에서 잘 모르는 이야기를 열심히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joceo00 님이 제2회 천하제일연재대회 참가자 소개에도 쓰신 것처럼 세이버메트릭스의 의미는 아래와 같습니다.

세이버메트릭스(Sabermetrics)는 빌 제임스가 창시한 SABR(The Society for American Baseball Research)라는 모임에서 만들어진, 야구를 통계학적/수학적으로 분석하는 방법론이다. 세이버메트릭스는 빌 제임스가 창시한 이래로 수많은 변화를 겪어왔으며, 이제는 단순한 개인의 취미 차원을 넘어서 야구 전반에서 쓰이고 있을 만큼 널리 퍼져 있다. 창시되었던 1970년대에는 많은 변화를 가져오지 못하였으나, 1980년대를 넘어 1990년대부터는 본격적으로 야구계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였다. (출처: 위키피디아)


6837360817_d44bcd4548_o.jpg

세이버메트릭스에 대해 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 영화 <머니볼>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주연배우인 브래드 피트 외에도 조나 힐, 크리스 프랫처럼 지금은 스타의 반열에 오른 배우들이 조연으로 나옵니다. 2000년대 초반 메이저리그에서 저비용 고효율 야구의 정석을 보여준 오클랜드 어슬레틱스 구단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 이 영화에서 세이버메트릭스의 진가가 드러납니다.

전형적인 스몰마켓 구단인 오클랜드 어슬레틱스는 팀의 프리에이전트가 된 간판스타들을 잡을 재정 여력이 없었습니다. 그러던 중 세이버메트릭스에 주목하게 됩니다. 홈런치는 강타자, 도루하는 발빠른 선수, 타율과 타점이 높은 선수들이 고평가받던 시절, 빌리 빈 단장 (브래드 피트)은 출루율이 득점생산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는 점에 착안해 저평가받던 선수를 값싼 가격에 사들여 팀 전력을 구성합니다.

그 때 당시만 해도 빌리 빈 단장의 팀 구성은 괴짜의 도박으로 치부당하기도, 전통적인 방식을 고수하던 내부의 저항에 부딪히기도 합니다. 그럴만도 한 것이 오랜 시간 야구선수를 선발하는데 있어서 직접 스카우트의 눈으로 선수가 얼마나 빠른 공을 던지는지, 얼마나 멋진 스윙을 하는지를 보는 것 외에는 별다른 왕도가 없었습니다. 경험 많은 스카우트의 직관에 의존해 선수의 잠재력을 판단하던 시절, 책상에 앉아 컴퓨터 스크린에 나오는 숫자만 보고 선수를 선발한다는 건 있을 수 없는 일이었으니까요.

36700946996_0666345b61_z.jpg

그토록 원했던 월드시리즈 우승은 이루지 못했지만 20연승에도 성공하는 등 나름의 성과를 거둡니다. 팀연봉 총액이 몇 배는 높은 팀들과 맞붙어 일궈낸 오클랜드 어슬레틱스의 성공은 야구선수를 평가하는 데 있어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습니다. 1970년대부터 존재했던 세이버메트릭스가 비로소 전통적인 방식을 고집하던 야구계에서도 정설로 받아들여지는 계기가 된 것입니다.

현재 메이저리그 30개팀의 단장 중 절반 가까이가 현장 노하우와 경험 많은 야구선수나 코치 출신이 아닌, 통계와 확률에 전문성을 가진 고학력자들입니다. 빌리 빈의 영향일까요. 이런 파격 인사는 십여 년 전부터 트렌드처럼 이어져왔는데요.

테오 엡스타인은 서른의 나이에 보스턴 레드삭스의 단장이 되어 86년간 우승이 없던 팀의 ‘밤비노의 저주’를 풀었습니다. 그리고는 시카고 컵스로 자리를 옮겨 108년간 풀리지 않았던 ‘염소의 저주’까지 깨트리고 컵스를 우승시켰습니다. 앤드류 프리드먼 역시 서른의 나이에 스몰마켓 팀인 탬파베이 레이스의 단장을 역임하여 팀을 월드시리즈에 진출시키는 쾌거를 이뤘습니다. 비야구인에다가 경험까지 미천한 젊은 단장들의 성공사례는 세이버메트릭스라 일컬어지는 데이터 과학 없이는 설명하기 힘들 것입니다.

The_Cubs_celebrate_after_winning_the_2016_World_Series._(30709972906).jpg

우리나라 야구팀 중에서도 NC 다이노스는 외국인선수 선발에 데이터분석팀을 적극 활용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장석 넥센 히어로즈 구단주도 한 때는 빌리 빈 단장의 이름을 딴 빌리장석이라는 별명까지 얻으며 KBO 머니볼의 대명사로 불렸었죠. 우리나라 프로야구에도 비야구인 단장 전성시대가 올지 궁금합니다.

오클랜드의 성공이 야구계에 반향을 일으켰다면, 영화 머니볼은 보통의 야구팬에게도 세이버메트릭스에 대해 좀 더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저같은 야알못도 세이버메트릭스 이야기를 하고 있으니까요.

다음 포스팅부터는 좀 더 본격적으로 세이버메트릭스를 소개하겠습니다. 기대해주세요 :)

Sort:  

짱짱맨 호출로 왔습니다.

감사합니다 :)

정말 감동적으로 본 영화였습니다.

저도 참 재밌게 봤습니다 :)

안녕하세요 암호화폐 거래소 고팍스입니다.
세이버메트릭스는 이제 야구를 넘어서, 농구와 미식축구 등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덕분에 농구에서는 긴 2점 야투보다 3점슛에 집중하는 팀들이 강세를 형성했고(골든스테이트가 대표적인 예죠) 미식축구도 각 포지션별 역량과 활약을 측정하기 위한 노력이 활발하다고 합니다. 물론 처음부터 성공했다고 보기는 어렵지만요......

시리즈인만큼 앞으로도 기대하도록 하겠습니다.

고팍스 드림

와... 보팅 감사합니다... 어안이 벙벙하네요 ㅋㅋㅋ

말씀하신게 맞습니다. 야구로 시작했지만 다른 스포츠에도 데이터 과학이 침투하고 있죠. 오클랜드의 머니볼처럼 골든스테이트의 스몰볼이 농구의 패러다임을 바꿨다고 생각되네요. 미식축구에서는 또 어떤 게임 체인저가 나오게 될까요?

시리즈 연재 열심히 하겠습니다. 종종 댓글 달러 와주세요 :)

우오오 고팍스님에게 보팅을 ㅎㅎ 축하드립니다

감사합니다 ㅎㅎ

이벤트 참여 감사합니다ㅎㅎ
보팅 꾹 누르구 가용~^^

감사합니다 :)

와~홈런!!!!!!!!

보팅액수 말씀하시는거죠? 아니면 진짜 야구 말씀하시는건가 ㅋㅋㅋ
제이디님이랑 야구 얘길 종종 했던지라 헷갈려요 ㅋㅋㅋ

보팅 액수요~ㅋㅋ 추카~

감사합니다 얼떨떨하네요 허허

대체 몇번을 봐야 질릴런지요... 사실 축구만 진정한 스포츠다!! 이러면서 야구는 쳐다보지도 않았던 제가 이제는 그 셈세한과 오묘함에 화룡점정을 찍었던 머니볼!! 정말이지 말이 필요없는 영화입니다. 사회인 야구도 하고 있는데 야구는 정말 사람을 겸손하게 만드는 힘이 있네요^^ 포스팅 기대됩니다!!!

그러셨군요 ㅎㅎ 야구가 축구보다 정적이긴 하지만 수싸움이 묘미죠! 사회인야구까지 하신다니 이제는 축구팬보다 야구팬?! ㅎㅎ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저도 감동적으로 본 영화중 하나입니다.
옳다고 생각하는 바를 끝까지 놓지 않는 인내가 필요합니다..ㅋㅋ
스팀잇 처럼요.. 저같은 newbie 님들 화이팅입니다..

영화에서 보면 정말 빌리 빈 단장은 어떻게 그렇게 강한 확신을 가질 수 있었을까 신기합니다 ㅎㅎ 뉴비들도 화이팅 :)

정말 명작인 영화였어요 ost도 좋았구요ㅎ
영화볼때는 잘 몰랐었는데 세이버 메트릭스가 다음 포스팅이라니..!!!!
기대됩니다^^

딸이 부른 노래 말씀하시는거죠? 원곡 찾아 들어봤는데 딸이 부른 게 더 좋았던 기억이 ㅎㅎㅎ
방금 세이버메트릭스 포스팅 올렸습니다 :) 읽어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헉 그렇게 테임즈가 발굴된건가..!
컵스가 108년이나 우승을 못한줄도 몰랐네
MLB 보기시작한지 5년이 안돼서 강팀인줄...

NC는 외국인선수 데려와서 실패한 적이 없는 것 같네요.
간지님이 NC보다 좀 더 좋아하는 삼성은 외국인선수 스카우팅이 망인데 말이죠 ㅋㅋㅋ

컵스는 염소의 저주가 유명했어요. 애완염소 입장 안 시켜줬다고 자기 팀 망하라고 저주를 퍼붓다니 ㅋㅋㅋ

염소의 저주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삼성 그래도 러프 있잖아요..ㅎㅎ

러프는 사랑입니다 ㅎㅎㅎ

Coin Marketplace

STEEM 0.27
TRX 0.11
JST 0.031
BTC 68401.94
ETH 3807.69
USDT 1.00
SBD 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