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시장, 어디까지 왔을까?

in #kr6 years ago (edited)

최근 암호화폐 시장의 성장이 매우 가파릅니다.
오늘(18.1.5) 기준으로 현재 총 암호 화폐 시장 크기는 $765.12 B 입니다.

아래 기사가 쓰여진 시점이 작년 12월 17일인데,
기사 내의 암호화폐 시장 크기가 $ 587B 이니, 불과 20일 만에 약 30%의 성장을 한 것입니다.
그 선봉엔 리플이 있었죠......
이쯤되면 시총 1,000조원는 상반기.. 아니 1Q안에 달성할 수도 있을 지도 모르겠습니다.

"내년 가상화폐 시총 '1000조원' 전망…중앙은행 수용 가속화될 것"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366&aid=0000393090

그렇다면 지금 암호화폐 시장은 어느 정도 성장을 한 것일까요? 회사 엘레베이터에서 남녀노소 누구나 빗썸 차트를 쳐다보고 있는 걸 봐서는,
흔히들 얘기하는.. "객장에 유모차가 들어온" 상황일까요?

커뮤니케이션 학자 Everett Rogers 의 '혁신수용이론'에 따르면, 기술을 누가 먼저 받아들이냐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뉩니다

  • 혁신가(innovator) : 가장 먼저 신제품을 수용하는 집단. 약 2.5%
    2010년에 피자 2판을 10,000 비트코인으로 구매하신 분들..

  • 얼리 어답터(Early Adopter) : 새로운 아이디어를 빠르게 수용, 여론 주도적. 약 13.5%
    어? 비트코인이 폭등했다고? 나도 사볼까? 음.. 이더리움이란 것도 있네?

  • 초기 다수자(Early Majority) : 신기술 수용에 신중하지만, 그래도 보통사람들보다는 먼저 수용. 약 34%
    (탐탁치 않아 하며) 화폐가 그렇게 변동성이 심해도 돼? 흠 그래도 돈벌었다는데 조금만 돈 넣어 볼까...

  • 후기 다수자(Late Majority) : 신기술의 효용이 입증되지 않는 한 수용하지 않음. 약 34%
    (부정적) 그거 사기임. 도토리임. 네덜란드 튤립임. 폰지 사기임.

  • 늦깍이(Laggards) : 전통 추구... 약 16%
    인터넷 뱅킹도 불안해서 못쓰겠는데, 뭐? 가상화폐?

그리고 주로 얼리아답터와 초기다수자 사이에, 캐즘(Chasm)이 존재한다고 합니다.

캐즘(Chasm) : 초기 시장과 전기 다수 사에에 크게 벌어진 대단절.
이걸 뛰어 넘으면 엄청난 돌풍을 일으키며 대세가 되지만,
뛰어넘지 못하면.. 도태되고 잊혀짐

제 생각엔,

2017년 초가 얼리 어답터들이 들어오기 시작한 시점이 아닌가 합니다. 아직 비트코인이 100만원 대.. 이더가 10~20만원 대에서 놀던 시절이죠.

그리고, 6월/9월 대폭락 장을 겪고난 이후..
이더가 42만원에서 13만원으로 떨어졌던 그 암흑 시기

비트코인이 1,000 만원 돌파(11월 26일) → 2,000만원 돌파(12월 8일) 하며 초기 다수자(Early Majority)들이 들어왔다고 생각합니다. 이 때가 "캐즘"을 뛰어 넘은 시기라고 봅니다. 이 시기 이후, 너도나도 암호화폐 이야기를 하기 시작했던 것 같네요.

중요한 건, 아직 '초초기'라는 겁니다. 아직 본격적인 시장은 시작도 안했다고 생각됩니다.

기존에 부동산/주식으로 포트폴리오를 짜 놓았던 강남 아주머니들은 힘들게 발품팔아 부동산 사 봐야 연 1~20%, 주식도 대박나야 10% 수익을 버는데, 하루에도 50~100% 씩 수익을 내는 이 시장에 고깝기도 하고, 한편으론 들어오고 싶을 겁니다.
(다만, 기존에 거래하는 PB 나 기관들보고 투자를 하라 할 순 없을테고.. 그렇다고 직접하자니 진입장벽도 높은 상황)

더불어 정부의 규제 / 언론의 부정적인 보도 / 기존 상식에 벗어난 시장의 흐름 등이 이 시장에 진입하는 것에 주저하게 만들죠.

하지만, 블록체인이 비트코인 뿐만이 아니구나? 이게 단순히 도토리가 아니었네?! 4차 산업혁명 어쩌고 하더니 그게 이거였구나? 하는 순간 결국은 들어오게 될 것이고, 바로 그 순간이 Game Change가 되는 것이 아닐까요?

그리고 무엇보다도 이것은 한국 시장만의 상황이므로,
고민하고 계신 강남 아주머니들조차도 사실은 (글로벌리) 얼리 어답터일지 모릅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블록체인이 이 세상을 다시 한번 바꾸는 그날까지잠깐의 출렁임은 있을지라도

  • 70년대 강남 땅을 구매하는 마음으로
  • 90년대 마이크로소프트 / 애플 주식을 산다는 마음으로

투자하며 공부하며 즐겁게 지켜봐야겠습니다. ㅎㅎ


<70년대 강남. 왼쪽에 국기원(비트코인) 건물이 보인다>

Sort:  

저도 늦게 12월 10일쯤 시작했네요. 하지만 선택과 집중의 실패로, 믿음이 부족하여 본전만 가지고 있네요. 제가 생각하기에는 고점에 있지 않나 생각이 드네요.

오늘의 고점이 내일의 저점이 될 수도요!

캐즘이 어느 시점에 어느정도 규모로 올지, 그리고 그 순간을 어떻게 수용하고 대응할지가 관건 일것 같습니다. 잘 읽었습니다!

그래서 끝집은...

캐즘을 뛰어넘은 시기에 들어와 있는 여러분들이 바로 승리자십니다!

앞으로 즐길일만 남았길 바랍니다 ㅎㅎ

Coin Marketplace

STEEM 0.20
TRX 0.12
JST 0.030
BTC 60843.73
ETH 3406.11
USDT 1.00
SBD 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