빗박스의 링크코인의 미래는 밝을까?

in #kr6 years ago


제가보는 링크코인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해볼까합니다.

예전 거렁괭이방에서 방장하면서 일주일넘게
잠을 줄여가고 스트레스를 받아가면서 채굴을 했져
과연... 링크는 캘만한가?!

물론 수수료 무료인시점에서 링크를 나눠주는건 안캐는게
이상한 수준이었던지라 무조건 캘만하다!! 라는게

제 답변이라면 ..

질문을 바꿔서 링크를 수수료를 내고도 캘만한가??


라는 부분에서 이야기를 해보고 싶었습니다.

사실 전 수수료내고서라도 캐고싶었지만...
현재는 수수료내고 채굴하면 100% 자전거래가될정도로
bitbox의 거래량은 죽어있습니다

그렇다면 저는 왜 링크를 이렇게 좋아할까요?
여기서부턴 팩트에 근거한 제 뇌피셜 행복회로입니다.

현재 링크는 네이버라인의 코인입니다.
네이버는 다들 아시다싶이 일본의 라인시장과
한국의 검색시장을 다먹고 있죠

일본진출뿐만이 아니라 글로벌진출은 네이버의 크나큰
오래된 숙제였습니다. 일본에서도 야후를 이기고 검색
시장을 먹겠다고 했다가 어마무시한 돈을 날리고
성공시킨 파트가 라인 이져

한국에서는 카카오톡때문에 라인에 대한게 참 생소하게
느껴지겠지만 실제로 라인은 일본에선 카톡이랑 비교할수
없는 앱입니다. 일단 일본은 인구부터가 한국의 배수
단위에 가까운 나라이니깐요

실제로 일본인 친구들에게 말을 해보면 라인을 안쓰는
사람이 없다고 할정도입니다

그런 한해의 라인내에서 페이시장의 자금이 유통되는
양은 수조원대입니다.

일본라인의 총시총은 무려 12조 이용자수 1억6800만명
1분기 매출이 4820억원이나 되는 어마어마한 공룡이져.

즉 리버스라고 하기에는 카톡수준의 2배에 달하는앱이
블록체인 으로 전환을 하는 엄청난 일입니다.

그렇다면 왜 라인은 블록체인을 개발하려할까요?

결론은 간단합니다 '돈'이 되기 때문이져

현재 라인코인은 총 10억개의 발행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중에 배포된 양은 다합쳐도 400만개에 달합니다.

위의 전문은 빗박스가 발표한 링크의 내용입니다.
즉 자신들이 개발해내는 Dapp과 line에서의 최소가치를
5달러로 측정을 하는 스테이블코인을 해주겠다는것입니다

가격이 오르면 그이상을 쳐줄것이며 최소가치는5달러

그러면 말이져 400만개에 달하는 코인을 이렇게 배포
했는데 400만*5달러 = 무려 20,000,000달러에 달하는
엄청난 금액이 적자로 잡히게 되는데 절대 5달러일리가
없지 않느냐? 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총 발행량은 10억개입니다. 즉 220억에 달하는 금액을
미니멈으로 소화해준다면 유통량대비 시총이 결정된다고
치더라도 유통량만 슬금슬금 풀어도..

다 팔수는 없지만 무려 5조짜리 회사가 220억을주고
탄생이 됩니다.

"에이 팔아야 돈이지!!" 라고 하시겠지만
삼성전자 대주주들이 어디 팔아서 돈법니까?
모든 대부호들은 자산의 대부분이 회사 지분입니다
팔기전에는 돈도 아니져 -_-

즉 회사가 가치를 유지시켜주고 상승을 한다면
가장많은 링크를 보유한 라인(네이버)가 가장큰 이득을
보게 됩니다. 또 한 이링크를 얻기 위해서
Dapp들의 발전또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것이구요

현재 네이버를 보면 지식인이 아무런 돈이나 혜택을
주지 않아도 네임밸류와 마케팅을 위해서 태양신이나
고등급을 찍기위해서 사회 여러 계층부터 전문직종또한
네이버 지식인 작업을 많이 합니다.

하지만 그런 지식인에서 답변이 채택될때마다 돈을
준다고 한다면요?! 등급이 높을수록 더 많은 돈을준다
라고 한다면..?

식당정보를 올리고 돈을 받을수 있다면요?
여행지 상품리뷰를 블로그에 올리고 받은 좋아요만큼
돈을 받는다면 어떻게 하실까요?

어차피 이 모든게 다 한계비용제로인 블록체인이라는
Link토큰이 있기 때문에 할 수 있는 행동입니다.

하지만 링크가 1만원이 되어도 10만원이 되어도 100만
원이 된다고 하더라도 가장큰이득을 보는것은 이번
채굴을 통해서 기껏 만개단위로 고래소리듣는
거렁괭이들이 아니라 바로 라인 이라는 거죠

그렇기 때문에 라인은 스테이블 5달러를 받을겁니
가격을 올리지 않더라도 5달러만 받아주면 되니깐요

가장 최악의시나리오는 빗박스마냥 다들 5달러 이하 수준에
털어버리고 링크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도 버리고
아무도 사용을 하지 않는 경우입니다.

사실 이런리스크는 그어디든 존재합니다..
유튜브 조차도 오늘부터 당장 아무이용자도 들어가질
않는다면 전세계 최고의 동영상플랫폼의 가치는 0원이
됩니다.

과연 링크는 어디로 갈까요?

라인에서 서비스에 언제부터 도입이 될까요?
어느날 네이버든 라인이든 링크결제 라는 파트가
생기길 바래봅니다.

Sort:  

일본에선 아직 빗박스 접속안되는데 아마 승인같은걸 기다리고 있지 않을까요 .. 음 일본에서 링크가 풀린다면 대박이 날수도있다고 봅니다 F99968A2-5C41-4C57-8D9F-636F883D67B0.png

전 오늘 스냅샷 지나고 일단 던졌습니다. 한 번 빠지지 않을까 싶어서요. 근데 아직 확인을 안 해봄; ㅋ

잘 던지셨네요~ 하락중이네요 ㅎㅎ

근데 리플 에어드롭 또 하네요 ㅎㅎㅎ

일본에서 라인의 위상과 가치와 시총과
링크 코인의 가치에 대해서 생각하게 해주는
좋은 글이군요.

Coin Marketplace

STEEM 0.27
TRX 0.11
JST 0.031
BTC 71168.96
ETH 3851.55
USDT 1.00
SBD 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