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과 비트코인 느린속도, 어떻게 해결 할 수 있을까?

in #kr6 years ago


안녕하세요,
블록체인을 공부하면서 많은 사람들과 공유하기 위해
영상으로 제작하는 레스코 혜민입니다.

_

오늘은 전 세계사람들이 함께 사용하기엔,
시간 당 너무나 모자란 양의 거래가 가능한 이더리움과 비트코인이

속도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기술들을 고민하고 있는지
영상으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영상으로 보실분은 아래 영상 클릭!
↓↓↓↓↓




이어서 영상 내용 글로 정리드리겠습니다 :)

비트코인 이더리움의 문제점들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이나 사용자들의 수요가 높아질수록
많은 내역정리를 하느라 저장 용량 및 내역 처리 진행 속도,
사용 수수료의 상승등에 대해서 점점 어려움이 많아질텐데요

(ex> 1번 전송하는데 0.001 비트코인을 요구하는데
이는 현재 시세 (1비트=2100만원) 기준으로 하면
2만원(21,240원)이 넘는가격입니다)

이더리움과 비트코인,
각자 어떻게 어려움을 해결해 가고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tech_5.png

비트코인의 해결방법

우선 비트코인은 라이트닝 네트워크사이드체인
사용해서 문제해결을 하려 도전하고 있습니다.

라이트닝 네트워크는 정말 쉽고 간단하게 말씀드리면,

기존의 블록체인이 있고 그 외부에 따로 네트워크를 만들어
서로 합의하에 거래를 여러 번 주고 받은 후
여러 번 진행한 거래내역을 한 번에 한 묶음으로 묶어서 블록체인에 올리는 것입니다.

tech_4.png

이렇게 되면 매번 블록체인에 올릴 떄 걸리는 시간을 해결 할 수 있고,

블록체인에 거래내역을 올릴 때마다 금액에 상관없이
수수료를 지불했어야 하는데,

한번에 많은 양의 거래내역을 한 번의 수수료 지불과 함께 블록에 올릴 수 있으니,
수수료 부담도 적어지게 됩니다.

tech_3.png

GREAT!

이더리움 해결 방법

반면 이더리움은
베이스레벨에선 샤딩이란 방법으로 ,
또 DAPP 레벨에선 스테이트 채널 방법으로 문제을 해결하려
기획중에 있습니다.

우선 스테이트 채널은 비트코인의 라이트닝네트워크와 비슷한 방법으로
아예 따로 채널을 만들거나 다른 블록체인을 만들어서
거래를 주고 받은 후

그 내역들 중 마지막이나 중요한 부분들만
메인 블록체인에 올리는 방법입니다.

tech_2.png

샤딩은 기본적인 개념 설명을 드리면,
현재 데이터베이스 에서도 많이 사용되는 방식으로
데이터베이스의 용량을 서로 나눠 갖는 방식입니다.

현 2018년 3월 7일 12시 18분 기준으로 보면
이더리움은 5210317번째 블록이 만들어 졌습니다

이 많은 블록들을 모든 노드가 소유하자니 용량문제로
누구나 노드가 되는 것에 점점 한계가 생길 테니

노드들마다 다른 구간을 소유하는 것입니다

캡처.PNG

만약 블록이 100개라 가정하면
A노드는 1~10까지의 블록을
B노드는 11~20까지의 블록을 저장하는 것 처럼 말이죠

또한 이런 샤딩을 하기 위해선 MERGE라는 추가 작업이 필요합니다
Merge 는 1부터 10까지는 누가 가지고 있고 11부터 20까지는 누가 가지고 있는지 그 내용들을 정리하여 모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tech_1.png

샤딩의 기본 개념은 이런과정 이지만
이더리움에선 샤딩을 어떻게 응용할 지는
앞으로도 지켜봐야 할 것입니다


네 여기까지 !
이더리움과 비트코인의 가치와 속도 이슈에 대한 네트워크 해결 방안을 비교하여 살펴봤습니다.

그럼 혹 문의사항이나 수정사항 있으면
언제든지 댓글로 의견주시기 바랍니다 :)

감사합니다

Sort:  

좋은 영상 잘 보고 갑니다!^^
초보자분들에게 정말 도움이 될 것 같네요 ㅎ

감사합니다 :) 저 또한 COSINT 에서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

Coin Marketplace

STEEM 0.27
TRX 0.11
JST 0.031
BTC 67790.81
ETH 3815.03
USDT 1.00
SBD 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