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와 고물가 인식과 美금리정책

in #kr5 days ago

포스팅이미지.png
주요국 소비자의 고물가 인식으로 정치권에 대한 압력이 가중될 전망이다. 미국의 올해 10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예상수치에 부합하여 12월 금리인하 기대가 증가한다. 다만 美연준 주요 인사에 의하면 금리인하 폭과 시기의 불확실성 고려하여 신중한 통화정책 결정이 필요하다. 관련 내용을 간략히 살펴본다.

  • 소비자와 고물가 인식

美대선 출구조사와 여론조사에 따르면 경제적인 불만이 트럼프 지지를 견인(牽引)한다. 또한 전문가들은 영국과 일본 등 각국 선거에서도 높은 생활비에 대한 분노가 정치적 판도(版圖)를 결정한 것으로 진단한다. 아울러 내년 독일과 캐나다 총선에도 유사한 영향이 예상된다. 올해 9월 기준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부유국가 그룹의 평균 인플레이션(연율)은 각국 중앙은행 목표(연 2%)에 근접한 상황이지만 그룹전체의 2019년 12월 대비 평균물가는 약 30% 상승한다(식품은 50% 급등)하며 소비자의 어려움이 가중된다. 아울러 소비자 신뢰도 Pandemic 이전보다 1.7% 낮으면서 유권자는 정치적 불만을 표출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 10월 美소비자물가

미국의 올해 10월 헤드라인 소비자물가지수(CPI)의 연간 상승률은 전월에 비해 소폭 올랐으나(2.4%→2.6%) 월간 상승률은 0.2%로 4개월 연속 같다. 근원치의 연간 및 월간 상승률 또한 전월과 동일하다(각각 3.3%→3.3%, 0.3%→0.3%). 아울러 이번 헤드라인 및 근원 CPI 상승률은 모두 예상에 부합한다. 세부적으로는 주거비가 전체 월간 상승분의 절반이상을 차지하고 중고차 가격과 항공료도 상승한다. 반면 의류가격은 Pandemic 이후 최대 폭 하락하고 자동차 보험료는 소폭 하락한다. 최근 하락세가 지속한 에너지가격은 전월대비 보합이다. 시장에서는 자동차부문을 제외할 경우 전반적으로 디스인플레이션이 순탄하게 진행 중이며 이에 이번 결과가 올해 12월 금리인하 전망을 훼손(毁損)하지 않을 것으로 평가한다. 이를 반영하듯 CME(Chicago Mercantile Exchange, 시카고상업거래소)의 Fed Watch Tool이 제시한 12월 금리인하 가능성은 전일 대비 큰 폭 상승한다(58.7%→82.3%). 다만 견조한 경제성장세와 트럼프 당선에 따른 관세강화 전망 등을 고려할 경우 내년 금리인하 횟수는 기존 전망대비 축소될 것으로 예상된다. 일부에서는 내년 1월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Federal Open Market Committee)에서의 금리동결 가능성도 제기한다(Morgan Stanley).

10월 日생산자물가

일본의 올해 10월 생산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대비 3.4% 올라 2023년 8월 이후 최고 상승률을 기록한다. 이는 쌀 등 주요 농산물의 가격상승, 중국의 경기부양책 기대로 인한 구리가격 상승, 에너지부과금 인상 등이 주원인이다.

  • 美연준 금리인하 입장

美연준 주요 인사인 美슈미드 캔자스시티 연은 총재에 의하면 통화정책 완화 시기 혹은 최종금리 수준과 금리인하 폭에 대해 확신하기 어렵다. 美댈러스 연은 로건 총재는 중립금리가 2.74%에서 4.60% 사이일 것으로 추정하면서 견조한 수요와 지정학적 Risk를 감안할 경우 신중하게 금리정책을 결정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美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는 인플레이션이 올바른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지만 올해 12월 FOMC 이전까지는 추가적인 데이터 분석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며 물가가 재상승할 경우 25bp 금리인하를 지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고 첨언한다. 美무살렘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는 물가와 고용이 목표에 근접한 것으로 평가한다. 다만 물가상승률(연율)이 2%라는 목표를 상회하는 한 통화정책은 「적절한 수준의 제약적」 기조를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한다.

3/4분기 美가계부채

美뉴욕 연방은행에 의하면 특히 저소득층 부담이 가중되어 올해 3/4분기 가계부채가 사상 최대인 17.9조 달러(2경 5,060조원)를 기록하고 이 가운데 주택담보대출이 12.6조 달러로 전체 부채의 70%를 차지한다. 소득증가 규모가 부채증가 규모를 상회한 상황이지만 연체율은 3.5%로 상승한다. 특히 저소득층에서 재정적 부담이 확대한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