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STEEM 기본 개념 한 방에 이해하기 (2/2)

in #kr6 years ago (edited)

이 전 글 바로가기 : [암호화폐] STEEM 기본 개념 한 방에 이해하기 (1/2)







3 - 보상체계 - 저자보상, 큐레이팅(보팅) 보상

저런 책이 있더라구요.

암호화폐가 결제 용도로 활발히 쓰이게 되면, 언젠가 스팀잇 보상이 지갑을 스쳐가는 날이 올 지도 모르겠습니다.

처음 언급드린 바와 같이 STEEM은 신규발행량이 모든 사용자에게 분배됩니다. 작가와 큐레이터에게 75%, SP 보유자에게 15%, 증인에게 10%가 지급됩니다. 그 중, 일반적으로 보상이라고 표현하는 것은 첫 번째 75%입니다.


3-1 작성자 보상

글이나 코멘트를 작성한 사람에게 주는 보상입니다. 그냥 주지는 않죠. 내가 쓴 글이 다른 사용자를 통해서 보팅(Up vote)를 받아야 합니다. 그것도 보팅파워가 큰(SP를 많이 가진) 사람들이, 큰 보팅비율을 사용하여 보팅할 때 많은 보상을 받습니다.

그 글이 얻은 보팅에 대한 보상은 전적으로 보팅한 사람들이 '얼마만큼의 SP를 할애해서 보팅했느냐'에 따라 정해집니다. 간략한 개념은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 보팅하는 사람은 보유한 SP를 바탕으로 0~100%의 보팅파워(Voting Power, VP)를 가집니다.

  • 그 중 얼마나 보팅하는데 사용할 것인가를 정하는 것이 보팅비중(Voting Weight, VW)입니다.

steemkr.com에서 보팅할 때 보이는 VP, VW 정보입니다.


  • VP는 한 번도 보팅을 하지 않으면 100%입니다.

  • VW는 0~100% 범위 내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풀보팅(100 VW로 보팅)할 때 마다 VP가 2%씩 차감되고, 20%/day의 속도로 계속 충전됩니다. 따라서 큐레이션 영향력을 최대로 발휘(VP를 유지하면서 보팅은 많이)하려면 VW를 잘게 쪼개서 차감량과 충전량이 같도록 꾸준히 보팅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너도 나도 수익률을 높이고 싶으니까 보팅봇들이 넘쳐나나봅니다.

개인적으로는 보팅봇이나, 부계정을 이용한 무한 셀프 보팅 등 컨텐츠 생산 및 평가에 기여하지 않으면서 이익을 얻는 활동에 대해서는 시스템상의 제제가 더 필요할 것 같습니다. 같이 살펴보았지만 우리의 파이(인플레이션)는 정해져 있고, 무임승차가 늘어날수록 상대적으로 손해보는 쪽은 성실한 참여자들이니까요.


현재 시점으로 보팅 받은 SP당 보상 비율은 아래와 같이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0.37$ / ( 1870.6 SP x 0.88 VP x 1.0 VW ) = 0.22$/KSP


3-2 큐레이터 보상

작가와 큐레이터의 보상 비는 3:1이지만, 더 정확하게는 아래와 같습니다.

작가 : 큐레이팅(보팅) = 75% + 25% x (100% - alpha) : 25% x alpha

저 alpha 부분은 게시물 작성 후 흐른 시간에 따라 달라집니다.

0 ~ 3 분0%
3 ~ 15 분10%
15 ~ 27 분50%
27 ~ 30 분90%
30 분100%

따라서, 25%의 큐레이터 보상을 모두 받기 위해서는 30분 이후에 보팅하는게 유리합니다.

무엇을 위한 장치일까요?

‘좋은 컨텐츠는 읽는 시간이 오래걸릴테고 즉각적인 큐레이팅은 그만큼 가치가 적기 때문이다.’ 라는 주장도 일면 맞아 보입니다. 하지만 저는 오히려 ‘시간이 지난 글을 스크롤 내려서 파내라.’ 라는, 글의 묻힘방지를 목적으로 한다는 생각이 드네요.


3-3 SP(VEST) 이자

사실 이 부분은 크지 않습니다.

현재 기준으로 연 추가발행률 약 8.5%, 그 중 투자한 SP에 대한 보상은 15%입니다. 따라서 보상은 1.275%/yr (= 0.085 x 0.15)이네요. 하루로 따지면 0.0035% (= 1.012751/365)입니다.
이렇게 보니 진짜 쥐꼬리네요 ^^;


위에 정리한 부분은 설계자의 의도(블루페이퍼)에 쓰여진 내용을 바탕으로 한 것이구요, 실제 보상 비율은 조금 다른 것 같습니다. 내부 알고리즘은 딱 저 보상비율대로 맞아지도록 구현하진 않았나봅니다. 계속해서 수정이 되어 왔을 수도 있구요.

실시간으로 실제 보상 비율이 궁금하신 분은 https://steemdb.com/을 참조하시면 될 것 같네요.




STEEM에 대한 정리는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잘 시간이 한참 지났는데 더 잡고 있으려니 지치네요 ㅎㅎ

스팀잇 사용법(포스팅에 필요한 지식마크다운 또는 에디터 사용법, 저작권, 태그, 대역폭, 비밀번호, 가입, 프로필 작성, 팔로우잉, 리스팀, 홍보 등)은 @easysteemit님의 글을 추천합니다.

또, 저도 한 두개 밖에 읽어보지 못했지만 STEEM과 관련하여 재미있는 글 들의 링크를 한데 엮어놓은 @woo7739님의(제멋대로 엮은) 스팀잇 이용에 필요한 기본 가이드도 추천합니다.

기존에 썼던 1편도 다듬다 보니 수정이 많아져서 다시 쓴 수준이네요. 다음부터는 꼭 한 편을 완성한 다음 업로드해야겠습니다. 그리고, 글 쓰다 보니 분석하고 싶은 포인트가 몇 개 생겼는데, 기회되면 시간 내서 따로 정리하겠습니다^^

날씨도 좋으니 내일은 산책도 하고, 볕 좋은 카페에서 책이나 읽으면서 온전히 하루 쉬려고 합니다. 여러분도 모두 가치있는 주말 보내시길 바랍니다.

Sort:  

깔끔한 정리 감사합니다! 리스팀으로 제 블로그에도 저장해놔야겠어요 ㅎㅎ

알고리즘기반 투자 하시는 글 매일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리스팀해주시니 글을 보는 분들이 확 늘어난거같아요^^ 감사합니다

재밌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ㅎ

덧글 감사합니다^^

뉴비로써 스팀에 대해 한번 더 이해할 수 있는 의미있는 글입니다. 감사합니다. 또 놀러와서 많이 배우겠습니다 ^^

저도 막 공부하면서 정리한 내용이라 좀 더 채우고 싶은 욕심이 있는데, 역부족이네요 ㅎㅎ 덧글 감사합니다

보팅하고 팔로우 신청하고 가요 건승하세여

감사합니다^^

한글로 보니 이해 잘가고 편하네요
잘 읽고 갑니다

네 또 재밌는 글 올릴게요^^

깔끔하게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 ㅎㅎㅎㅎ
꼭 기억해 둬야 겠네욥 ♡

궁금한거 있으면 쉬운 말로 알려드릴테니 따로 물어보세요 ^^ 댓글로도 괜찮구요. 그리는 그림들이 이뻐서 팔로우했어요~~

앗!! 감사합니다 : )
제가 너무 몰라서...조금 귀찮으실수 도 있는데 ㅠㅠㅠ
제가 공부 해보고 도저히 혼자서는 해결이 안되는것들만 해서 여쭤볼께요!! ㅎㅎㅎ

1편에 이어 잘봤습니다.

네! 글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스팀잇에 대한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ㅎ
저는 아직도 많이 부족한거 같아요 제대로 알고 있는것도 없더라고요
이글을 통해 많이 배워 갑니다 팔로우하고 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좋은글 정보 많이 적어주세요 배워 가겠습니다

도움되었다니 정말 뿌듯한 기분입니다^^ 서로 배울 수 있게 도와가면 좋겠어요

Coin Marketplace

STEEM 0.33
TRX 0.11
JST 0.031
BTC 67508.70
ETH 3753.40
USDT 1.00
SBD 3.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