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viewing a single comment's thread from:

RE: 세계경제위기(Crisis)의 재현과 암호화폐 (3)

in #kr6 years ago (edited)

현재의 화폐 시스템으로 경제위기가 발생할때마다 양적완화 같은 임시방편적인 수단으로 지금의 상황을 유지시켜 나갔습니다. 언제까지 이렇게 될런지는 알 수가 없겠지만 미국만 양적완화를 시킨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전세계적인 모든 국가가 양적 완화에 동참하는 상태이므로 달러 가치만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전 세계의 모든 법정화폐 가치가 동시에 떨어진 것이기 때문에 그것으로써 달러의 존재가 불안해진다고 이야기 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 같아 보입니다. 위에서 언급하셨다시피 세계적인 암호화폐가 등장하기 보다는 지역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암호화폐가 달러의 대안으로 서서히 부상 하지 않을까 예상해 봅니다.

Sort:  

피드백 감사드립니다! 모든 국가가 양적완화에 동참한다는 것이 사실상 파국의 지름길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한 나라의 통화가치가 하락하고 다른 나라의 통화가치가 불변이라면 경상수지의 조정과 환율변화에 의해 조정이 가능할텐데, 그것이 아니라 모든 국가의 통화량이 팽창하고 화폐가치가 인위적으로 하방압력을 받고 있다는 것은 곧 화폐자체의 구매력만 저하되는 결과를 낼 것이니까요. 이게 실물경제에 언제까지 긍정적인 영향을 줄 지는 모르겠지만, 언젠가 부작용이 나타날 수밖에는 없을 것 같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은 이러하지만, 저도 이 부분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겠습니다! 관심 감사드립니다^^

답글 감사합니다. 그리고 저의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국가 주도의 암호화폐도 결국 무늬만 암호화폐로 바꾸었을 뿐 결국 현재의 법정화폐와 별반 다를바가 없다고 봅니다. 프라이빗 블록체인 이기 때문에 현재의 시스템처럼 화폐를 더 발행하고 싶으면 프로그램 조작으로 더 발행 할 수가 있기 때문이지요. 이러한 상황이면 아무리 국가가 발행 했다 하더라도 신뢰성의 문제가 생길 수 밖에 없고 이러한 상황은 결국 프라이빗 블록체인 보다는 퍼블릭 블록체인으로 서서히 넘어 갈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보여집니다. 결국 대다수의 지구인들에 의한 신뢰가 가치를 더해 주는 것이기 때문이지요. 이러한 과정으로 가는 데 있어서 국가적 또는 범국가적으로 퍼블릭 블록체인에 의한 암호화폐 대하여 수 많은 강력한 제제가 따를 것으로 보여지며, 결국 인정 받는 암호화폐는 살아 남을 것이라고 예상 해 봅니다.

아무래도 국가가 화폐의 발행 및 독점권이라는 그 어마어마한 유혹을 뿌리친다는 건 쉽지 않겠지요. 다만 프라이빗 블록체인 기반이라 하더라도, 국가의 디지털 화폐 발행은 현재의 실물화폐을 능가하는 여러 이점이 있을 것입니다(이건 현금 없는 사회 논의로 직결되는 문제라 생각합니다). 국가의 Fiat money가 없이 퍼블릭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가 지배적인 세상은 무정부주의적인 그림과 다를바 없어서 그런 세상이 도래한다는 것은 아직은 잘 가늠이 되지 않네요.

그러나 말씀하신 것처럼 퍼블릭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가 살아남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화폐의 진화이고 신뢰사회의 초석이 될 것이란 점은 동감합니다. 상당하고 또 지속적인 규제압력이 가해지겠지만, 분명히 퍼블릭 블록체인 기반 기술들이 세상의 풍경들을 많이 바꿔놓을 것이라 저도 믿습니다. 공정하고 동시에 효율적인 방향으로요.

Coin Marketplace

STEEM 0.20
TRX 0.13
JST 0.029
BTC 60924.19
ETH 3382.45
USDT 1.00
SBD 2.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