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024오늘의서울시] ‘거리예술존’? 예술은 언제나 무료인가?
[오늘의서울시] 예술을 서비스업으로 만드는 서울시 문화예술공연 사업들
과유불급인데 언제나 서울시의 문화행사들이 그렇다. 지난 여름부터 한강에서 펼쳐지는 많은 행사들이 많은 경우 예술활동을 매개로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열정페이에 가까운 행태에 대한 이야기를 듣기도 했다. 그런데 오늘 발표된 서울시 거리예술존 사업에 대한 보도자료를 보고 이 사업이 괜찮은 것인가에 대해 진지한 고민이 들었다.
이 사업은 5월 쯤부터 10월까지 다양한 예술단체들의 공연을 서울 곳곳에서 시행하는 사업이다. 각종 재래시장들, DDP등 서울시 공간들, 그리고 덕수궁 돌담길 등이 주요한 공연장소들이다. 이 사업은 대행사업으로 진행 중으로 매년 10억원 내외의 예산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실집행액을 기준으로 보면 상당부분의 예산이 사용되지 않고 미집행되고 있다. 문제는 미집행이 아니라 이 예산이 참여하는 예술인들에게 적절하게 보상이 되고 있는가라는 점이고, 서울시가 ‘무료 공연’을 정책적으로 양산하는 것이 타당성에 대한 부분이다.
위의 예산 자료 시기에 사업실적을 보자. 2014년에 1000회가 진행되었고 2015년에는 1200회, 2016년에는 2500회의 공연이 진행되었다. 그런데 같은 시기 지출된 돈은 10억, 7억, 12억 정도였다. 만약 보상체계가 회 당 보상체계라면 공연횟수가 많으면 당연히 비용이 늘어나야 한다. 하지만 2014년에서 2015년 사이 공연횟수는 늘었는데 정작 사업 지출은 떨어지는 기현상이 나타났다. 적어도 거리예술존의 보상체계는 공연횟수와는 별상관이 없다는 뜻이 된다.
또한 적절한 무대시설이 없는 거리에서 공연을 할 경우 그 공연이 존중받기 힘들다. 무엇보다 민원을 예술가와 대면시키고 스쳐지나가는 관객을 경험하도록 한다.
결국 예술을 창작하는 예술인과 이를 향유하는 시민 사이에 이상한 구조가 만들어지는데, 예술인들은 서비스의 제공자로 전락하고 시민들은 예술이 공짜라는 인식을 갖게 한다. 이것이 지속가능한 예술 향유의 수단인지 모르겠다.
올해 선정된 대행사는 흥미롭게도 민주당의 다양한 사업을 다룬 네오카우스라는 업체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