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say] 무엇이 영향력을 만드는가 (무엇이 고래를 고래로 만들었는가)

in #kr6 years ago (edited)

DQmd8UZW1viSwJicBV2ohBqmFnfEFkTEoHBJboohy8eY7bm_1680x8400.jpg

영향력을 가진다는 것은 무엇일까?

우리는 네트워크의 시대를 살아가고 있고 영향력을 갖추고 있다는 것은 하나의 권력을 가진 것과 다름 아닌 것 같다. 페이스북이나 스티밋에서 사람들을 관찰하다 보면 눈에 띄는 사람들이 있다.

페이스북에서는 수많은 좋아요와 댓글들, 그리고 스티밋에서는 많은 업보트와 보상들은 그들이 얼마나 그 네트워크 안에서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지를 대략적으로 볼 수 있게 해 준다. 그들의 한 마디는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블랙홀처럼 빨아들이고, 사람들은 그들의 관심을 얻기 위해 부단히 노력한다. 나도 분위기 파악 못할 때 그랬다.

소위 인플루언서라고 하는 사람들은 저렇게 쉽게 살아도 저런 관심을 받을 수 있는구나라는 생각이 들면, 나의 애씀이 하찮고 서글프게 느껴지는 경우가 있다. 아쉽게도 이런 사이버 공간에서 나의 모든 에너지와 노력을 다 쏟아도 관심을 받는 것은 너무나도 어려운 일이다.

한편으로는 솔직히 그런 사람들이 부럽다. 어떻게 하면 저렇게 영향력을 가진 사람이 될 수 있을지 궁금해 하며 그들을 관찰해 보았다. 그러면서 그들의 공통점이 무엇인지 곰곰히 생각해 보았다.


먼저, 그들은 자신을 표현할 줄 안다.

나는 나의 지식과 의견에 있어서 지나치게 신중한 사람이었다. 내 의견이 다른 사람과 다르면 어떡하지, 내가 아는 것이 혹여나 잘못된 지식이면 어떡하지, 이런 논제는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또한 잘 못된 것이 아닐까라는 수 없이 복잡한 생각들로 옭아매어 결국에는 이 모든 것들이 내 머리 속에서만 표류하다 사라져 버리는 것을 수차례 경험했다.

반면 영향력을 갖춘 사람은 자신의 생각을 결코 감추지 않는다. 오히려 더욱 잘 전파될 수 있도록 노력한다. 50:50의 첨예한 대립이 있을 수 있는 논제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타내는 것에 두려워하지 않는다. 그들은 쉴 새 없이 자신을 주장하며 자신과 동일한 생각을 갖춘 무리들을 형성해 나간다.

나의 이런 성향과 영향력을 갖춘자들의 차이점은 여기서 발생한다. 그들은 비록 50은 잃었으나 50을 얻었고, 나는 그 누구도 얻지 못했다. 50을 잃을 것을 두려워한 나머지 50도 얻지 못한 것은 너무나 큰 패착이다.


그들은 전문성을 갖추고 있다.

아무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는 것을 아무리 정성스럽게 포장한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어느 누구의 관심도 얻지 못한다. 사람들은 상당히 이기적이다. 누구도 자신에게 도움이 되지 않을 말에 귀를 기울이지 않는다. 적어도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 만한 지식과 경험을 가지고 있는 것. 그것이 그들의 말에 권위를 부여하는 원동력이 된다.

이곳에 시간이 남아돌아서 오는 경우는 별로 없을 거라고 본다. 정보를 찾기 위함이고, 정보는 전문성이 받침될 때 그 빛을 발한다. 커뮤니티에는 많은 직군의 사람들이 있다. 프로그램 개발, 투자, 경제, 예술, 여행 등 각 주체는 어딘가에 분명 속해 있지만 관심은 늘 그랬듯 일부에게 집중된다.

스티밋의 모토(?)는 창작자에게 그 창작의 가치를 오롯이 보상 받게한다는 것으로 알고 있다. 한편 수많은 사람들을 모으는 유인은 창작이나 큐레이션을 통해 금전적 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현실은 내가 아무리 큰 노력을 쏟아 부은 글이라고 하더라도 독자에게 도움이 되지 못하면 큰 가치를 얻을 수 없다. 전문성이 필요한 이유다.

상당수의 고래들은 전문성을 갖춘 사람들이다. 물론 기막힌 투자를 통해 본의 아니게 고래가 된 사람들도 있겠지만 내가 관찰한 바에 의하면 그들은 나름의 전문성들을 다 가지고 있다. 얼마전까지는 상당수가 개발자였고 암호화폐를 잘 아는 사람들이었다. 그런데 지금은 새로운 분야의 전문가들이 계속 몰려들고 있다.

어떤 분의 글에서 이런 내용을 읽은 적이 있다.

"여기서 얼마 보상 얼마 못받는거 어떻게 보면 당연하다. 어디서 내가 쓴 글 가지고 창작료를 달라고 할 수 있는 곳은 현실세계에서 없다"


그들은 관찰에 능하다.

평범한 사람들이 아무렇지 않게 넘길만한 것들을 그들은 놓치지 않고 관찰한다 그리고 그것에 의미를 부여한다. 이 과정은 생각해 보면 상당히 번거롭고 소비적인 일이다. 그럼에도 그들은 끊임없이 관찰하고 사고하고 의견을 피력한다.

한번은 '골목의 전쟁'의 저자인 김영준님과 독서 후 만남을 가진 적이 있다. 그분은 나랑 동연배였음에도 불구하고 이런 베스트셀러를 썼다는 점이 놀라왔고 심지어 그 계통의 일을 하는 것도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궁금한 생각에 어떻게 과정을 통해 이런 주제로 책을 쓰게 되었는지 묻자 그분은 자신이 일을 하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관찰하며 느낀 점들을 블로그에 올렸다는 것이다.

그런 관찰들은 평소에 같은 대상을 생각없이 보아왔던 사람들에게는 놀라운 통찰이 될 수 있다. 내가 생각지 못한 것들을 저렇게 볼 수 있다니.


마지막으로 그들은 작은 성공들을 끊임 없이 이어간 사람들이다.

"여러분 우리가 사업에 성공하려면 사업의 본질에 집중해야만 합니다" 라고 나와 이해진 네이버 의장이 동일한 장소에서 동일한 문장을 동일한 대상에게 이야기 한다고 한들, 어느 누구도 나의 말에 귀기울이기는 쉽지 않다. 반면 이해진 의장이라면 누구라도 고개를 끄덕이면 깊이 인정할 것이다. 이미 성공한 사람이 던지는 한마디는 아직 이루지 못한 누군가의 말보다 그 무게가 무거울 수 밖에 없다.

성공한 경험은 또 다른 성공을 불러오는 경우가 많다. 얼마전 카카오를 사임한 임지훈 대표가 새로운 사업을 한다는 소문이 들리면 수 많은 투자자들이 돈을 들고 방문할 것이다. 만약, 비탈릭 부테린이 이더리움이 아닌 새로운 블록체인 플렛폼을 만든다고 한다면 그 프로젝트는 이미 성공한 것이나 다름없다. 그들은 이미 성공을 경험한 사람들이 그런 사람들의 행보는 이미 주목을 받을 수 밖에 없다.


그렇다면 평범한 우리는..

여기서 나와 같은 평범한 사람들이 할 수 있는 것은 작은 성공들을 만들어 가는 것이다. 작은 성공은 아무 작은 곳에서 부터 시작될 수 있다고 믿는다. 앞서 이야기 한 대로 당연하게 생각해서 쉽게 넘어갔던 것들에 관심을 가지고 관찰하며, 자신의 고민과 의견들을 담아 피력하며, 그것을 통해 조금씩 조금씩 사람들로 부터 공감을 얻어가는 것.

스티밋에서 많은 고래들이 있다. 그런 고래가 아니더라도 고래를 안다는 것만으로도 많은 서포트와 관심을 받는 것을 보면 알기힘든 소외감 같은 것도 생기는 듯 하다. 아마 수 많은 사람들이 밀려들어오고 있는 이 시점에 수 많은 사람들은, 그리고 나도 언제나 그래왔듯 그저그런 범인에 한 사람이 될 지 모른다는 슬픔이 있다.

누구에게도 공감받지 못하는 글, 그것보다 더욱 슬픈건 누구도 읽어주지 않는 글을 쓴다는 건 참 외로운 일이다. 그렇지만 작은 성공을 위한 한 발걸음은 언제나 가치있는 일이 아닌가. 비록 나중에 잊혀지는 순간이 오더라도 작은 성공을 끊임없이 이어가기 위한 노력으로 새로운 글을 올린다.

대문 사진은 @onproof님의 도움을 받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Sort:  

스스로 홍보하는 프로젝트에서 나왔습니다.
오늘도 좋은글 잘 읽었습니다.
오늘도 여러분들의 꾸준한 포스팅을 응원합니다.

안녕하세요..짱짱맨...방문입니다..^^
어딜가나 고래와 같은 존재는 있기 마련입니다..고래는 자기 생존을 위해 수십킬로의 먹이를 먹어야겠지만..피래미는 플랑크톤만 먹으면 되겠지요..하지만 둘다 먹는행위를 하는 거고 거기서 느끼는 행복감은 비슷할 꺼라는 생각이 드내요..고래들을 부러워하지않고 자신의 테두리안에서 작은 성취들을 만들어 가면 언젠가는 고래가 되겠지요..하지만 고래가 되지 않는다 하더라도..이미 많은 성공을 이루어 봤으니..실망할 필요는 없을 듯하내요..좋은 내용 보고갑니다..
팔로잉 및 보팅합니다..좋은 하루 되세요~~

네 말씀하신 내용들에 공감합니다. 그렇게 되려고 하되 그렇게 되지 않아도 실망할 필요는 없지요.
감사합니다 :)

으아 얼른 일주일이 지나서 스팀파워가 들어오면 좋겠어요 이런 좋은 글에 0.01밖에 남기지 못하는 것이 슬픕니다 !!!! 멋진 글이에요 정말! 공감 꾹 하고 갑니다 :) 편안한 밤 되세요!

아니에요~ 조회수가 안습이라 읽고 관심가져주시는게 제일 기쁜일이에요 ㅜㅡㅜ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시작은 미미할지 몰라도 계속 노력한다면 과실은 달콤할거라 믿습니다. 화이팅!

네 사소하더라도 작은 성공을 하나씩 만들어 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하루였네요!
함께 화이팅하시져!! ㅎㅎㅎ

좋은 글의 기준은 각자 다르겠지만 이 글은 저에게 너무 좋은 글이네요 ^^ 생각할 거리도 많고 얻는 것도 많고. ㅎ관찰에 능하다는 말씀과 작은 성공을 이어가는 사람들이란 말씀이 너무 와닿았습니다.
저에겐 글 하나씩 쓰는 게 어쩌면 작은 성공과도 같을 지 모르겠네요.ㅎ
yusulism님의 꾸준함은 언젠가 꼭 보상을 받으실거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
다시 한번 감사드려요~

졸필인데 너무 과분하게 칭찬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ㅜㅡㅜ
저도@feyee95님 팔로우 하고 많이 배우도록 하겠습니다.
다시 한번 감사드려요 :)

마지막에 하신 말씀이 정말 와닿네요.
스팀잇에서 가장 슬픈건 내글을 아무도 읽어주지 않을 때 입니다.
저 역시도 보팅을 많이 받고 적게 받고를 떠나서 누군가가 내 글을 읽고 정성스럽게 댓글을 달아줄 때가 가장 기분이 좋더군요. 그런 댓글들이 계속 글을 쓸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것 같습니다.
고래분들도 뉴비일 때가 있었겠지요. 그분들이 가지고 계신 필력이나 재능들도 이유가 되겠지만 무엇보다 많은 시간과 노력들이 투자되었기 때문에 지금 고래가 된 것이 아닌가 합니다. yusulism님 말씀처럼 조금씩, 꾸준히 글을 통해서 사람들에게 공감을 얻어간다면 그것들이 쌓여서 큰 성공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슬픈일도 많지만 그래서 또 희망도 있고 그런거 같아요 ㅎㅎ
정성스럽게 댓글을 달아주셔서 저도 또 힘이 나네요!!
저도 솔님처럼 힘을 줄 수 있도록 파이팅해야겠어요 :)

좋은 글을 읽을 수 있도록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제 댓글로 힘이 나신다니 너무 기분 좋군요. 좋은 주말 보내세요 :D

오늘은 맘이라도 짱짱하게 먹고있어야겠어요
너무 추워요

Coin Marketplace

STEEM 0.22
TRX 0.12
JST 0.029
BTC 66132.22
ETH 3552.85
USDT 1.00
SBD 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