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RS] 스캠은 아닌 것 같은데...좀더 지켜봐야할 기대주.

in #sct5 years ago (edited)

스몬, 드럭워, 넥스트콜로니. 스팀잇 기반 게임들은 다 해보면서 몸빵하고 있는 곰돌이입니다.

얼마 전부터 @ai-channel 이란 계정으로 홍보가 시작되었고, 지금은 "본" 계정인 @roadofrich 에서 프리세일과 Q&A 소식 등을 전하고 있는 RORS, Road of Rich 라는 전략 RPG 계열 게임이 있습니다. 많이 기대가 되어서 저도 ai-channel에서 발행한 AIT 토큰을 구매하여 보유중이기도 합니다.


이에 관해서 읽어볼만한 글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단 회사측에서 적극적으로 Q&A로 답변을 올린다거나, 디스코드나 카톡방을 운영하는 것은 긍정적입니다. 그리고 ai-channel 계정에서 스파업을 하는 것도. 자기 돈으로 스파업을 하는 것만큼 확실한 신호는 없다고 봅니다.

그런데 아직까지는... 준비가 좀 덜 된 듯한 인상을 지울 수가 없네요. 그래서 게임이라면 일단 하고 보는 저도 주저하고 있습니다. 스팀, 특히 스팀 기반 게임들을 사랑하는 유저의 하나로서 냉정하게 비평해 보겠습니다.


Q&A에서도 보면 "토큰 이코노미" 를 엄청 강조하는데, 이게 대체 무슨 의미인지 모르겠습니다. "토큰 이코노미" 대신 "XYZS" 라는 단어를 넣은 듯한 느낌이에요.

몇 개 예를 들면 이렇게 쓰였죠:

  • "토큰 이코노미를 활용한 디플레이션 요소가 게임 속에 적용되고 게임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인플레이션을 해결해 일명 고인 물화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생성되는 게임머니는 토큰 이코노미와 게임속 경제 시스템으로 지속적으로 소각되어 하이퍼인플레이션을 Road Of Rich 게임에서는 해결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지속적으로 소각해서 인플레이션을 잡겠다는건데... 이게 가능한지는 구체적인 사항을 봐야할듯합니다. 발행량과 소각량이 같아져야 할텐데 말이죠.

  • "Road Of Rich는 선례가 없는 블록체인의 토큰 이코노미를 활용하기 때문에 게임 밸런스의 문제를 다각도에서 바라보고 기획하였습니다."

선례가 없는지는 일단 둘째치고, "토큰 이코노미를 활용" 하는 것과 "밸런스를 다각도에서 바라보는 것"이 무슨 관련인지는 잘 모르겠네요.

  • "Road Of Rich는 토큰 이코노미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 게임 유료 결제 수익 100%를 배당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게임 유료 결제 수익 100% 배당하면 게임사는 유료 결제 요소에 불필요한 요소를 적용시킬 이유가 단 1%도 존재하지 않게 됩니다."

토큰 이코노미를 활용하는것과 100% 배당이 관련이 어떻게 되는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유료 결제 수익을 100% 배당하면 정말 1%도 인센티브가 없을까요? 그렇다면 그것도 사실 이상한데요.


그러면 "토큰 이코노미" 가 대체 어떤 것인지... 한번 보겠습니다.

RORS token economy.png

??????


이거 깨져서 잘못 올라왔거나 한 게 아니라, 이게 공식 공지에 있는 표입니다. 경쟁사에게 유출될까봐 가렸다는 것 같은데, 저렇게 다 가릴 거면 왜 올렸는지... 그리고 저 표 하나 보고 경쟁사가 카피할 수 있는 것이면 게임이나 "토큰 이코노미" 의 경쟁력이 없는 거겠죠.


그래서 다른 글에서 토큰 분배는 어떻게 되는지 찾아봤습니다. 아래와 같아요.

190605_RORS token allocation.jpg

직업병인지, 이런 것을 봤을 때 오타가 여러 개 보이면 제게는 신뢰도가 많이 떨어집니다. 아예 영어를 안 쓰면 모를까, 게임 제목이나 이 표의 많은 단어가 영어인데, "patner" (partner의 오타겠죠?) 라고 세 번이나 연달아 잘못 나오는 걸 보면 이 표의 내용이 잘 검토되었는지 의심하게 합니다. 올로케이션은 allocation으로 추정되는데, 얘만 왜 한글로 되어 있는지도 모르겠구요. 뭐 이런 단어 선택이나 오타는 지엽적인 문제라고 치겠습니다.

다음, 45%에 달하는 Company reserve. 전에 문의한 결과로는 웬만하면 안 쓰일 거라는데, 이거의 정체가 무엇인지도 모르겠네요. 배당풀에서 제외된다는 것만 알고 넘어가겠습니다.

이제 중요한 부분입니다. 토큰 세일이 30%이고, 팀 지분이 15% 군요. 아래 내용에 의하면 락업된다는 말은 있지만 팀 지분이 배당에서 제외된다는 말은 없으니 배당에 포함되는 것이겠죠? company reserve처럼 배당에서 제외될거면 명시될 터이니 말입니다.

이러면 이후 배당이 이루어질 경우, 토큰 세일이 완판이라고 치면 토큰 구매자들에게 가는 배당량의 반이 팀에게로 가는 것이군요. 달리 말해서, 유료 결제를 하면 토큰 구매자들에게 가는 양의 반이 팀에게로 가네요. 그것과 위에 인용하기도 한 "게임 유료 결제 수익 100% 배당하면 게임사는 유료 결제 요소에 불필요한 요소를 적용시킬 이유가 단 1%도 존재하지 않게 됩니다" 가 공존할 수 있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제작진에서 추가적으로 공지나 Q&A를 올려서 유저들이나 투자자들이 판단하는 데 도움을 주었으면 좋겠습니다.

예를 들어서 "ROR 팀 역시 STEEM 블록체인을 이해하기 위해서 Drugwars, Steemmonsters, Nextcolony 게임을 모두 플레이했습니다." 라고 하셨는데, 그러면 각 게임을 플레이하고 느낀 장단점이나 RORS에서의 개선 대책이라던가, 등등. 이런 것들이 나오면 좀더 고개가 끄덕여질 것 같아요.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을 정말 좋아하는 1인으로서... 기대가 많이 되어서 이렇게 비평도 하게 됩니다.

Sort:  

투자 큐레이터 카카 성공투자 응원합니다.

ㅋㅋㅋㅋ 저 이거 토큰 샀는데...
잘 되야 할텐데요

저도 구매를 고려중에 있습니다.

곰돌이가 @kibumh님의 소중한 댓글에 $0.013을 보팅해서 $0.010을 살려드리고 가요. 곰돌이가 지금까지 총 5107번 $57.164을 보팅해서 $64.980을 구했습니다. @gomdory 곰도뤼~

조금 구입하기는 했는데, 너무 많은 내용들이 베일에 쌓여있네요. 고수 분들의 내용으로도 알 수가 없으니...

빨리 베일을 벗었으면 좋겠습니다.

소식 감사합니다.

일단 회사측에서 소통에 나서고 있으니 긍정적입니다. 업데이트를 기다려 봐야죠.

Thank you for your continued support towards JJM. For each 1000 JJM you are holding, you can get an additional 1% of upvote. 10,000JJM would give you a 11% daily voting from the 600K SP virus707 account.

안녕하세요 @deer3님 소중한 의견 감사합니다.

아무래도 ROR 토큰이코노미에 대해서 오픈된 내용이 적다 보니 오히려 커뮤니티의 확실한 신뢰를 받기 부족한 부분이 있지 않나 생각해보게 되었습니다.
조만간 전체 스토리를 자세히 오픈하고 프로젝트 준비, 일정 등 많은 부분을 신속히 업데이트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deer3님의 소중한 의견으로 인해 ROR이 더 성장하게 되어 간다고 생각합니다. 의견 주신 내용들 심사숙고하여 운영에 반영하고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늦은 시간 감사합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 다음 업데이트를 기대하겠습니다.

정말 공감합니다. 저도 도표에서는 ROR이었다가 아래에서는 RORS, patner, 올로케이션 같은 사소한 오타에 참 마음이 쓰였습니다.

지금까지 등장한 대부분의 게임들이 충분히 준비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전 펀드레이징에만 집중하는 경향이 있고, 오히려 중앙화된 기존 게임들에 비해 낮은 퀄리티, 늦은 업데이트, 탈중앙화되어 응답 없는 개발팀 등의 문제로 질릴대로 질려 있는 상태라는 점을 감안했을 때 여러 정보들이 오픈되었으면 좋겠네요.

사실 테스트넷에서 베타 버전이라도 유저들이 할만한 게임인지 냉정하게 평가해볼 수 있는 기회를 주고 토큰 세일이나 아이템 세일을 들어가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게임만 재미있고 역동적으로 즐길 요소들이 많다면 게이머들은 비싼 비용도 얼마든지 지불하니까요.

저도 개발팀에 궁금한 점을 언제 한 번 물어봐야겠네요. 좋은 포스팅 잘 읽었습니다 글로리님^^

감사합니다. 회사측의 다음 업데이트가 기다려지네요.

말씀처럼 게임성이 좋으면 현질은 자동적으로 따라오니..

저도 RPG를 좋아라하는 게이머로 기대가 되긴 하는데요~
토큰 이코노미도 중요하지만 사실 게임은 게임이 재밌어야...ㅎㅎㅎ

그렇지요. 게임이 잼있어야... 그럼 다 되는건데 말입니다.

안녕하세요. @skymin님의 jcar 보팅 선물입니다.

잘 보고 갑니다.

메모를 남기셨습니다. . 기대가 된 만큼 관심도 갖는 법이죠. ㅎ

스캠이 아닐거라 봅니다.

Coin Marketplace

STEEM 0.27
TRX 0.11
JST 0.030
BTC 69015.38
ETH 3758.20
USDT 1.00
SBD 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