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emcoin 25.9.10steemCreated with Sketch.

in #steemcoin15 days ago

스팀(STEEM/KRW) 차트 절차적 분석

아래는 60분–240분–일봉 순으로 상위 → 하위 프레임을 일관된 논리로 연결해 본 분석입니다. 수치는 캡처 기준 대략치이며, 교육적 관점의 시나리오예요 🙂


1) 시장 구조와 추세

  • 일봉

    • 가격은 약 171–196 구간에서 박스권 횡보가 장기화되었습니다. 현재는 중앙부(약 185) 부근으로, 방향성보다 “레인지 중단 축”에 가깝습니다.
    • 단기 이동평균선(5·10)은 살짝 상향으로 말아 올라가지만, 중장기(20·60)는 아직 편평/하향 기울기라 큰 추세는 중립에 가깝습니다.
  • 240분

    • 단기 상승 파동 이후 고점(약 188)에서 되밀림. 가격은 단기선(5·10) 주변으로 조정 중이고 20선 위·아래 경계에서 힘겨루기입니다.
    • 구조적으로는 “상승 후 눌림” 형태이나 고점 갱신 모멘텀은 잠시 식었습니다.
  • 60분

    • 상단 돌파 후 박스 하단으로 되돌림한 뒤, 중단선 언저리에서 옆걸음. 단기선들이 평행하게 눕는 모습으로 단기 모멘텀은 둔화입니다.

요약: 상위(일봉)는 박스권, 중위(240분)는 상승 후 눌림, 하위(60분)는 횡보/수렴. 즉 “큰 그림은 레인지, 중간은 조정, 작은 그림은 Mean-Reversion 대기” 상태입니다.


2) 변동성·밴드 상태(볼린저·ATR)

  • 일봉 볼린저: 밴드 폭이 눈에 띄게 좁아진 상태(스퀴즈). 방향성 돌파 전 단계일 가능성.
  • 240분 볼린저: 상단 접촉 후 중단선 쪽으로 회귀. 정상적인 눌림 범주.
  • 60분 볼린저: 중·하단 사이에서 캔들이 붙어 있으며, 밴드 폭이 다소 축소.
  • ATR
    • 일봉 ATR14는 지속 하락 → 장기 수렴. 추후 추세폭 확장 가능성 시사.
    • 240분 ATR는 소폭 반등 후 둔화.
    • 60분 ATR는 낮은 값 → 단기 변동성 축소. “이후 한 번의 확대”에 대비하는 구간입니다.

해석: 상·하위 모두 “수렴→확장” 시그널이 겹치므로, 방향성 돌파가 나오면 속도가 붙을 공산이 큽니다.


3) 모멘텀·수급 보조지표(MFI·RSI)

  • 일봉: RSI 약 49대, MFI 약 60 내외로 중립·약강. 과매수/과매도 아님.
  • 240분: RSI 60대(중립 상단), MFI가 과열권을 찍고 내려오는 모습 → 단기 조정 논리와 부합.
  • 60분: RSI 50 부근, MFI는 20대 근처까지 내려왔다가 낮은 수준 유지 → 단기적 반등 여건이 형성될 수 있으나, 상위 프레임의 조정 압력에 의해 탄력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4) 핵심 구간(지지·저항)

  • 지지

    • 182.5~183.5: 60분/240분 중단·하단선 및 최근 저가帯가 겹치는 완충대.
    • 171~172: 일봉 박스 하단. 이탈 시 박스 하방 이탈로 성격 급변.
  • 저항

    • 188~189: 최근 240분 고점 및 볼린저 상단 부근. 단기 매도대기 물량 추정.
    • 196: 일봉 박스 상단권. 종가 돌파 시 레인지 상방 이탈 시그널 강화.
    • 203~205: 상단 레인지 돌파 시 다음 공급대(과거 체결물량/평균가 영역).

5) 시나리오별 절차적 트리거

  • 단타 롱(60분 중심, 평균회귀)

    1. 60분 기준 종가가 단기선(5·10) 상회 + RSI가 50 재안착
    2. 거래량이 직전 20봉 평균 이상 동반
      → 진입 후 목표: 186.8 → 188
      → 손절: 60분 ATR(≈1.1) × 1.2 ≈ 1.3원 하단(대략 184.5~183.8 구간) 설정
      → 논리: 저변동 수렴 후 중단선 회복에 따른 단기 반등 스윙
  • 스윙 롱(일봉 박스 상단 도전)

    1. 일봉 종가가 186~187 이상에서 2일 연속 유지
    2. 240분 고점(188~189) 돌파 시 거래량 확장 확인
      → 1차 목표: 196(박스 상단), 2차 목표: 203~205
      → 손절: 일봉 ATR(예: 약 6~7)의 1.0~1.5배를 진입가 하단에 배치(보수적이면 171 하회 종가 시 전면 철수)
      → 논리: 일봉 스퀴즈 상방해제 + 중간 프레임 추세 재개 결합
  • 단기 숏(저항대 되밀림 공략)

    1. 188~189 재접근 시 240분/60분에서 음전환(상단 꼬리 + RSI 하향교차)
    2. 거래량이 평균 이하 혹은 역풍 캔들 출현
      → 목표: 185 → 182.5
      → 손절: 190.5 상단(저항 상단 + 240분 ATR ≈2.0 반영)
      → 논리: 과열권 재진입 실패 시 레인지 상단에서의 리스크-보상 우위

6) 실행·리스크 관리 포인트

  • 한 번에 방향성 크게 베팅하기보다 “돌파 확인형” 접근이 유리합니다. 특히 일봉 스퀴즈 구간에서는 페이크 돌파가 잦습니다.
  • 포지션 크기는 ATR 기반으로 조절하세요. 예상 손절폭(원/토큰) = ATR × 계수 → 계좌 리스크(예: 0.5~1.0%)에 맞춰 수량 산정.
  • 지지 이탈/저항 돌파는 “종가 기준”으로 검증하세요. 장중 찔림은 함정일 수 있습니다.
  • 거래량은 필수 확인. 돌파에 거래량이 동반되지 않으면 지속성 낮습니다.

7) 한 줄 요약

  • 현재는 “일봉 박스권 중앙 + 다중 프레임 수렴”이라 방향성 우위가 크지 않습니다. 188~189 돌파 시 196→203 상단 열림, 182.5~183.5 이탈 시 171대 재검증 위험이 커집니다. 단기(60분)는 저변동 반등 시나리오가 가능하지만, 상위 프레임 조정 압력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Screenshot_20250910_090222.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