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emcoin 25.9.23
스팀(STEEM/KRW) 차트를 절차적으로 분석해 드리겠습니다
아래 순서는 상위(일봉) → 중위(240분) → 하위(60분) 흐름으로 내려가며, 가격·추세·모멘텀·변동성·거래량을 동일 프레임으로 점검하는 방식입니다.
1) 시장 구조(일봉) – 큰 그림
- 추세
- 최근 고점 하락, 저점 하락이 이어지다가 오늘 장대 음봉으로 하단 이탈 시도입니다.
- 단기 이동평균(5·10)은 하향 정렬, 20선도 평탄→하락 전환 직전으로 보입니다. 중기선(60)은 가격 위에 있어 단중기 모두 하방 우위입니다.
- 가격대
- 오늘 종가 부근이 최근 스윙 바닥대(약 174원)와 거의 동일합니다. 종가 기준으로 171~174원 박스 하단 테스트 구간입니다.
- 모멘텀
- RSI 14는 40대 초반으로 중립 하단→약세로 기울었고, 과매도권(30 이하) 진입은 아직 아닙니다.
- MFI는 35 부근으로, 자금 유입이 약하고 매도 압이 우세합니다.
- 변동성/거래량
- ATR은 하락 추세 속 소폭 반등 후 다시 둔화, 즉 ‘크게 흔들리며 하락’에서 ‘완만한 하락’로 바뀌는 구간이었으나, 금일 장대 음봉으로 변동성 재확대 조짐입니다.
- 거래량은 최근 낮은 편이었으나 오늘 캔들에서 유의미하게 증가해 ‘하락+거래량 증가’ 형태입니다. 이는 추세 강화 혹은 과매도 단기 반등의 전조, 둘 중 하나로 이어지기 쉽습니다. 일봉에서는 전자가 우세.
핵심 해석: 일봉은 하락 추세 재강화 시그널. 171~174원 지지가 무너지면 하단 열릴 수 있습니다.
2) 240분 봉 – 중기 추세 전개
- 추세/가격
- 5·10·20선이 모두 하향 정렬, 캔들은 하단 볼린저 근처에서 짧은 반등 시도 후 다시 약세.
- 직전 지지 175.5원대가 저항으로 전환된 모습.
- 모멘텀
- RSI 14는 20대 중후반에서 살짝 반등했으나 여전히 약세권.
- MFI는 15 근처의 저수치로 자금 유출 지속 신호.
- 변동성/거래량
- 최근 큰 거래량 스파이크 이후 점차 감소. 스파이크 봉이 하락 구간에서 발생했기에 ‘투매성 거래 후 약반등’ 패턴이었고, 현재는 그 반등이 힘 없이 끝나는 양상.
- ATR은 2.4대에서 하향 중으로, 급락 뒤 진정 단계. 그러나 가격은 반등을 만들지 못함.
핵심 해석: 중기(240분)도 반등 실패 후 재하락 압력. 169.9~175.5원 범위에서 박스 하단 테스트.
3) 60분 봉 – 단기 시그널
- 추세/가격
- 장대 하락 후 172~174원대에서 옆걸음(횡보) 중. 5·10선 수렴, 캔들은 하단 이탈 후 재진입 시도.
- 모멘텀
- RSI는 30 이하 과매도에서 40 근처로 반등. 단기 기술적 반등의 여지는 있으나, 추세 전환 신호로 보기엔 부족합니다.
- MFI도 40대 초반으로, 아주 강한 매수 유입은 아님.
- 변동성/거래량
- ATR 1.28 수준으로 하락 후 축소. 단기 변동성 축소는 방향성 재개 전 ‘숨 고르기’로 해석됩니다.
- 거래량은 감소세라 돌파 신뢰도는 낮습니다.
핵심 해석: 60분은 박스 하단에서 단기 반등 대기. 하지만 상위 프레임 하락 방향과 충돌합니다.
4) 레벨 맵(관심 가격)
- 지지
- 171~174원: 최근 바닥권. 종가 이탈 시 손절·리스크 관리 구간으로 적합.
- 168.5원: 하단 밴드 부근의 다음 지지 후보(스파이크 저점 가능).
- 저항
- 175.5원: 240분 전 지지→저항 전환 레벨. 단기 매물대.
- 177.5~178원: 단기 이동평균 밀집 상단 및 하락 추세선 근처.
- 182원대: 일봉 단기 추세 전환의 첫 관문.
5) 시나리오별 전략 아이디어
- 보수적 관점(추세 추종)
- 171원 종가 이탈 시 관망 또는 비중 축소. 재진입은 175.5원 회복 후 60분 기준 추세 전환(5·10·20선 상향 정렬) 확인.
- 공세적 단타(역추세 스캘핑)
- 171~174원 바닥권에서 박스 하단 ‘지지 확인(장중 저점 상향+거래량 유입)’ 시 175.5~177.5원 구간까지 반등 스윙 노리되, 손절은 171원 종가 이탈로 타이트하게.
- 중기 스윙
- 일봉 종가 기준 182원 회복 및 5·10선 골든크로스 시 신호 확인 후 분할 접근. 그전까지는 하락 추세 속 반등은 ‘되파는 구간’으로 관리.
리스크 관리 포인트
- 손익비를 1:1 이상으로 설정하고, 진입 전에 손절가를 고정하십시오.
- 거래량이 동반되지 않는 상방 돌파는 신뢰도가 떨어집니다. 돌파 시 반드시 체결 강도·거래량 확인 후 추격.
6) ATR을 활용한 손절·목표 설정(현재 체감값 기준)
- 60분 ATR ≈ 1.3원, 일봉 ATR ≈ 5.8원.
- 단타: 진입가 ±1.5×ATR(60분) ≈ 2.0원으로 손절폭 설정, 3~4원 목표로 최소 1:1.5 확보.
- 스윙: 일봉 기준 손절폭 0.8×ATR ≈ 4~5원, 목표는 1.5×ATR 이상(9원+)로 설계.
7) 체크리스트(진입 전 확인)
- 상위 프레임(일봉) 하락 추세 속에서 역추세 진입인지 확인
- 171~174원 지지 확인: 저점 상승 + 거래량 증가?
- 175.5원 재돌파 시 60분 이동평균 상향 정렬 여부
- 손절·분할청산 계획 사전 확정
정리
- 상·중기 흐름은 하방 우위, 단기만 바닥권 반등 가능성이 있습니다.
- 핵심 분기점은 171~174원 지지 유지와 175.5원 재탈환입니다. 지지 붕괴 시 추가 하락 위험이 커지므로 방어 우선이 좋겠습니다.
Sort: Trending
[-]
successgr.with (75) 2 days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