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emcoin 25.9.8

in #steemcoin17 days ago

STEEM/KRW 차트를 꼼꼼하고 단계적으로 해석했습니다

한 줄 요약

  • 큰 그림(월·주): 장기 하락 추세 속 저점대 정체. 중기(일): 175~186 박스권 수렴. 단기 상승 시 186, 196, 203이 순차 저항입니다. 현재가 183은 “중앙값 근처”로, 추격보다 확인 매매가 유리합니다.

0) 분석 전제와 목표

  • 전제: 올려주신 일·주·월 스냅샷 기준. 지표는 이동평균(5·10·20·60·120)과 가격·거래량 중심으로 판단합니다.
  • 목표: 방향 단정 대신 핵심 레벨·트리거·무효화 조건을 명시해 실행 가능한 시나리오를 제시합니다.

1) 멀티 타임프레임 구조

  • 월봉

    • 구조: 장기 하락 추세. 과거 급등 이후 고점·저점 모두 낮아지는 패턴.
    • 의미: 장기 저항(월 20·60MA)이 가격 위에 다층으로 존재. 상방은 시간과 거래량이 필요합니다.
  • 주봉

    • 구조: 180대에서 바닥권 횡보. 5·10·20주선이 머리 위에서 눌러주는 모양.
    • 의미: 반등은 가능하나, 203·220 같은 수평저항을 넘기 전까지는 하락 추세 내 반등으로 해석하는 것이 보수적입니다.
  • 일봉

    • 구조: 175~186 박스권 수렴. 60·120일선이 위쪽(대략 190대)에서 눌러주고, 수평저항 186·196·203·205가 단계적으로 대기.
    • 거래량: 일시적 스파이크 이후 재차 축소. 돌파의 신뢰도는 “거래량 재확대” 동반 여부에 좌우.

요약: 상·중기 수렴 하단 근처에서 횡보 중이며, 위쪽으로 저항이 촘촘히 배열되어 있습니다.


2) 핵심 가격대(근사 범위)

  • 지지
    • S1: 181.5~180.5
    • S2: 176~178(박스 하단, 이탈 시 하방 가속 위험)
  • 저항
    • R1: 184~186(일봉 중단선/근접 이평)
    • R2: 193.5~196(중요 공급대)
    • R3: 203~205(상단 박스/강저항)
    • R4: 220(상위 구간 피봇)

논리: 현재가(183)는 R1 바로 아래. 첫 관문(184~186)을 종가 기준으로 정복하지 못하면 재차 181~180 테스트 가능성이 큽니다.


3) 시나리오별 실행 계획

A) 돌파 추세추종 롱

  • 트리거: 일봉 종가 186 상향 마감 + 거래량이 최근 20일 평균 대비 뚜렷한 증가.
  • 진입: 다음 날 되돌림에서 184.8~185.5 지지 확인 후 분할.
  • 목표: 1차 193.5~196, 2차 203~205.
  • 무효화: 일봉 종가 183.8 하회 시 축소, 182.5 하회 시 전량 손절.

B) 박스 내 평균회귀 롱(저가 매수형)

  • 트리거: 180.5~181.5 구간에서 반전 캔들(핀바/장악형) + 거래량 반등.
  • 목표: 183.5 → 185.5~186 단계 청산.
  • 무효화: 179.8 일봉 하향 마감 시 손절.
  • 비고: 박스장 특화. 짧은 홀딩과 분할청산이 핵심입니다.

C) 상단 저항 반락 단타(역추세)

  • 트리거: 184~186 구간에서 연속 윗꼬리 + 거래량 둔화(또는 일봉 종가 184 미만 회귀).
  • 목표: 182.0 → 181.0~180.5.
  • 무효화: 일봉 종가 186 상향 마감 시 전략 폐기.
  • 비고: 역추세 스캘핑이므로 속도와 손절이 생명입니다.

D) 하방 재개(보수적 숏/롱 회피)

  • 트리거: 일봉 종가 180 이탈 → 다음 날 180 재진입 실패.
  • 목표: 178 → 176.
  • 무효화: 일봉 종가 182 재상회 시 청산.

최종 편향: 지금은 R1(184~186) 바로 아래라 B 또는 C의 반응 매매가 유리하고, A는 “종가 돌파+거래량” 확인 후로 미루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4) 203원 경로 체크포인트(이정표)

  • 1단계: 186 일봉 종가 돌파·유지
  • 2단계: 193.5~196 종가 돌파(윗꼬리 축소, 종가 상단 위치)
  • 3단계: 거래량 확장 유지 속 203~205 첫 터치
  • 시간감: 1·2단계가 연속 충족되면 “2~7거래일 내 203 테스트”도 가능하나, 현 시점 거래량/ATR 축소에선 “2~4주”로 지연될 가능성도 염두에 두셔야 합니다.

5) 리스크 관리와 체크리스트

  • 포지션 크기: 계좌당 위험 0.5~1% 이내.
  • 손절·추적: 진입 프레임의 ATR×1.2 바깥에 손절, 수익 구간 ATR×1.5로 추적손절.
  • 확인 절차
    • 신호 발생(60분/4시간) → 일봉 종가로 재확인.
    • 돌파/이탈 순간 거래량이 20일 평균 대비 뚜렷하게 증가했는가?
    • 돌파 후 되돌림에서 지지 전환이 실제로 유지되는가?

6) 자기 일관성 점검(요약 결론)

  • 공통 전제: 장기 하락·중기 박스·거래량 축소.
  • 일관된 선택: “확인 매매”가 우선. 186 일봉 종가 돌파 전 추격은 기대수익 대비 리스크가 큽니다.
  • 관점 변경 요인: 일봉 186 상방 안착 + 거래량 확장(→ 상방 가속), 혹은 180 이탈(→ 하방 재개).

Screenshot_20250908-100445.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