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발로 10초 서기
오래 전부터 신체의 균형 능력을 평가하는 검사 방법으로 ‘한 발로 서기’가 있다고 합니다.
한 쪽 다리로 설 수 있는 능력은 신체 균형 능력 뿐 아니라 전반적인 체력과 다리 힘, 감각 정보 처리 능력 등에 달려 있다고 하는데요,
몸의 건강상태가 좋지 않거나 질환이 있는 사람들은 다리 힘이 약해 한 발로 설 수 있는 능력이 떨어진다고 합니다.
따라서 한 발로 서서 얼마만큼 버틸 수 있느냐로 건강 상태를 종합적으로 유추해 볼 수도 있다고 하네요.
관련 기사가 있어 소개합니다.
‘한 발로 10초 서기’ 해보면…
‘한 발로 서기’가 조기 사망 위험을 판별하는 지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장기간 추적 조사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국제 공동연구진에 의한 참가자들이 받은 테스트는
한 쪽 다리를 구부려 발을 다른 다리의 종아리 뒷쪽에 붙이는 ‘한 발로 서기’ 동작(위 사진)을 10초 동안 유지하는 것.
<출처 : 한겨레, 브리티시스포츠의학저널>
한 발로 서는 동안 두 팔은 옆구리에 자연스럽게 붙이고 시선은 정면을 향하도록 했다.
참가자들은 어느 쪽 발로 하든 상관없이 모두 세 차례 시도할 수 있었다.
7년간 추적 조사한 결과, 한 발로 10초 동안 서 있지 못한 사람들은 7년 이내 사망할 가능성이 17.5%였다.
이는 10초 이상을 견뎌낸 사람들의 사망 위험률 4.6%보다 훨씬 높은 것이다.
또 사람들은 나이가 들면서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하는 비율이 높아졌다.
50대 초반엔 실패 비율이 5%였으나 50대 후반엔 8%, 60대 초반엔 18%, 60대 후반 37% 로 점차 올라갔다.
5년마다 대략 두배씩 늘어났다. 70대에는 54%로 절반이 넘었다.
상관관계는 확인했지만 인과관계의 고리가 어디에 있는지는 명확하게 규명되지 못했다.
다만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한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건강 상태가 더 나빴다.
고혈압, 비만, 관상동맥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가 더 많았으며 당뇨병 비율은 3배나 더 높았다.
“중년 및 노년층의 건강 검진 때 ‘한 발로 서기’ 능력을 항목에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신체 균형 능력, 전반적인 체력과 다리 힘, 감각 정보 처리 능력과 관계 있는 '한 발로 서기'...
'한 발로 서기' 연습을 종종 해봐야 겠습니다.
2022.7.2.
Upvoted! Thank you for supporting witness @jswit.

@ssnam90 transfered 5 KRWP to @krwp.burn. voting percent : 100.00%, voting power : 20.27%, steem power : 1995337.29, STU KRW : 1200.
@ssnam90 staking status : 3450.166 KRWP
@ssnam90 limit for KRWP voting service : 3.45 KRWP (rate : 0.001)
What you sent : 5 KRWP (Voting Percent over 100 %)
Refund balance : 2.182 KRWP [65550923 - 510511fc438a32a5ae4b991de7c214c594cfd1e4]
당장 해 봐야겠네요..😄
헙...충격적인 자료네요..아직 30대이지만 그래도 건강관리 잘해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