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부터 압록강까지 17-1-1 낙동강 돌출부 개관 (148)

워커장군의 방어계획

부산-밀양 - 대구, 영천-경주-부산을 잇는 낙동강 동쪽의 철도와 도로를 확보하는데 집중

북한군의 방안(148)

부산 주변과 병참로 공격을 준비
부산을 침공하기 위한 네개 방법을 선택
1 남강과 낙동강 합류점의 동쪽에서 마산을 통과하는 방법
2 낙동강 돌출부를 통과하여 밀양에서 철도와 도로를 이용하는 방법
3 대구를 통과하는 방법
4 경주를 지나 동해안 종격실을 따라 전진하는 방법

8월이 되면서 북한군은 네개의 방법을 동시에 적용하기로 결정

<7월까지는 주로 1,4 번 방안을 시도했다가 실패한 것으로 보임>
<이후 모든 방면으로 전면공격을 시도>

낙동강 전선의 지형적 특성

낙동강은 방어선의 3/4를 둘러 해자를 형성

강서쪽의 고지는 대개 2000 피트 이상으로 동쪽보다 높은 지형
대구북쪽, 왜관에서 안동에 이르는 반원형의 강북쪽 고지는 대개 2000-3000피트로 보다 더 높은 지형을 형성
대구북쪽, 왜관에서 안동에 이르는 반원형의 강 북쪽 고지는 대개 2000-3000 피트로 더 높은 지형을 형성

낙동강 방어거점

강, 천연적인 도로를 바라볼 수 있는 고지 정상에 구축한 일종의 거점

주간에는 관측소의 역할, 야간에는 청음초나 조그만 방어 전초선을 형성

일부분은 주간에만 병력을 배치
배치된 병력도 분대병력이 반정도에 지나지 않음
적정을 수집, 관측 결과보고가 주요 임무

주간에는 정찰짚차로 강에 연한 도로를 순찰
사실상 방어선은 빈약

강에서 수마일 떨어진 예비대는 어떤 적의 도하공세도 반격할 수 있는 태세를 갖춤

야포와 박격포
강 후방 진지에 위치하여 나루터나 예상도하지역에 사격하도록 준비

보병과 포병은 같이 배치되어 빈약한 도로망을 통제하고 감제고지를 확보할 수 있게 함(도로가 가장 중요)

Coin Marketplace

STEEM 0.27
TRX 0.11
JST 0.030
BTC 67808.48
ETH 3831.14
USDT 1.00
SBD 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