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담:::결국은 읽을거리(1)
개인적인 통계를 봤을 떄 최근 몇 년 간 트위터를 제외한 나머지 SNS 및 커뮤니티의 사용량 자체가 확 줄었다. 스팀잇이야 뭐 게시물에 대한 피드백을 받고 있는 게 아닌 이상 하루에 1~2번 정도 둘러보고 (챙겨볼 글이 올라왔으면 잘 읽음) 마는 수준이었으니 애초에 사용량이 줄었다고 할 수 없지만,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의 사용량은 확실히 줄었다.
모바일 기기에서 실제 실행 시간을 확인해봐도 알 수 있다.
트위터는 일주일 간 대략 8.5시간 사용
레딧은 일주일 간 대략 4시간 사용
페이스북은 일주일 간 대략 1시간 30분 사용
인스타그램은 일주일 간 대략 51분 사용.
////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통계와 경험 기반한 것이지만 페이스북의 사용량은 떡락했다. 4-5년 전만 해도 페이스북을 트위터와 엇비슷하게 많이 사용했고, 포스팅도 하루에 한 번 이상은 했지만 요새는 며칠에 한 번 기사/읽을거리 공유 혹은 페이스북만 사용하는 지인들에게 생존 신고를 하는 수준으로 사용량이 추락했다.
////
페이스북 사용량이 떡락한 이유 (그니까 어디까지나 개인적으로 생각해본 이유) 는 대략 다음과 같다.
:::내부 알고리즘의 변화
2010년도 초반만 해도 페이스북은 타임라인 순서로 친구들의 글을 보여줬다. 가장 최신의 글은 맨 위에 있고 스크롤을 내릴수록 오래된 글을 보여주는 고전적인 방식으로 피드가 구성됐다. 나는 이 방식에 큰 불만이나 변화 필요성을 느낄 수 없었다. 어쨋거나 시간 순이니 천천히 오늘의 흐름을 읽어나갈 수 있었고 무엇보다 자연스러웠다. 내가 굳이 깊게 읽을 필요 없는 글은 바로 바로 스크롤해서 넘기면 끝이었고 무언가 정말 중요한 글은 보통 친구들에 의해 여러번 공유되어서 눈에 띄기 쉬웠으니까.
그런데 어느 순간부터 페이스북이 시간순 피드를 포기하더니 수 차례의 알고리즘 변화를 시도했다. 소통량이 많은(댓글, 좋아요 등) 친구의 글을 우선순으로 보여주는 걸 시작으로 해당 게시물이 오로지 텍스트만 존재하는지, 사진이 포함된 글인지, 영상 링크인지, 페이스북 자체 영상인지, 다른 웹페이지의 링크라면 해당 웹페이지가 어떤 구조의 웹페이지인지 등등에 따라 계속해서 바뀌어나갔다.
바로 이때부터 피로감이 쌓이기 시작했던 것 같다. 점차 바이럴한 게시물만 피드에 쌓이기 시작했고 내가 읽고 싶었던 친구의 오늘 하루, 이거저거에 대한 감상, 적당한 잡담 글은 줄어들기 시작했다. (실제로 이런 글들의 수가 줄어들진 않았겠지만 노출 자체가 적게 됐다)
내가 구성하고 예상한 피드와는 다른 게 되어버린 것이다.
(물론 이게 애초에 페이스북 잘못이라기보다는, 바이럴한 측면에서는 단순 글보다는 이미지-카드뉴스나 비디오로 구성된 컨텐츠가 널리 널리 잘 퍼지니 페이스북도 ‘아 이런 걸 유저들이 좋아하는구나’ 하며 이러한 게시물들이 피드에 더 잘 노출되도록 변경하고 뭐 그런 게 있겠지만 굳이 닭이 먼저 달걀이 먼저를 알아보고 싶지는 않고)
물론 잘 만든, 사람들의 이목을 끄는 컨텐츠를 많이 띄워주는 게 좋겠지, 텍스트보다는 이미지, 비디오의 시대니까.
문제는 컨텐츠가 질적으로 퇴보했다는 것이다.
페이스북 피드에 자주 노출될 컨텐츠를 고르기 위해 페이스북이 도입한 알고리즘은, 해당 컨텐츠의 내용을제대로 판단하지 못한다. 단지 ‘이미지가 첨부되어있으니까’ ‘페이스북 자체 영상 업로드를 이용했으니까’ ‘자체 알고리즘이 판단하기에 현재 시의성에 적절하니까’ 등등 실제 컨텐츠의 내용이 개소리든 바이럴이든 자극적이기만하든 상관없이 현재 페이스북의 피드 노출 알고리즘에 적절하기만 하면 OK해서 보여주니 사실상 살아남는 컨텐츠라곤 그때 그때 알고리즘에 ‘형식’을 맞춘 컨텐츠일수밖에 없다.
이게 결국은 순간 자극적이고, 선정적이고, 단순한 내용일수밖에 없고.
결국은 ‘정말 읽을 만한’ ‘질적으로 뛰어난’ 내용의 게시물들은 위의 알고리즘에 맞춘 인스턴스한 자극들에 밀려 노출이 적어지고 (...) 결론적으로는 페이스북이 재미없어진 거다. 맨날 불닭볶음면만 먹는 느낌이랄까.
////
물론 개인적으로 페이스북 사용이 뜸해진 건 페이스북의 질적인 퇴보 외에도 >>>>>정보인권<<<<<<적인 측면도 정말 정말 크다. 솔직히 이 부분을 생각하면 당장 페이스북 탈퇴하고 싶다. 카카오톡 쓰기 싫지만 사회 생활이라는 것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쓰는 것처럼 페이스북 탈퇴도 어쩔 수 없이 못한다. 또 위에서 말한 것과 마찬가지로 ‘사용자를 위한 알고리즘’ 이 실질적으론 사회나 사람에 악영향을 미치는 그런 (이에 대해선 여기저기 찾아보면 결과물이 많이 나올 것이다) 것도 있고.
////
글 마무리가 쉽지 않은데 하여간 무언가 절실히 읽고 보고 느끼고 싶다는 욕망 하에 잡담을 써내려갔다. 이런 긴 글 (어차피 잡담/아무 생각이지만)은 보통 페이스북에 써야 하는데 뭐 페이스북은 쓰기 싫으니 스팀잇을 다시금 열심히 할 것 같다. 머릿속에 생각은 끝없이 오가는데 이걸 전부 트위터에 쓸 수는 없는 노릇이고...
잡담 2편에 계속....
페북이 시간순으로 안 한 이유중 하나는 그렇게 다 보여줄 수 없는 경우가 많아져서 그런 것도 있었을거에요. 대부분의 사용자에겐 글이 너무 많아지니까. 지금도 see first던가 그런기능있긴할거에요. 친한 친구정해서 무조건 피드에 뜨게 하기. 그리고 늘 다양한 알고리즘이 테스트되면서 계속 변화해나간답니다. 아래 @qrwerq님 댓글보니 사용자에게 좀 더 정렬에 대한 선택권한을 주면 좋긴하겠네요ㅎㅎ 확실히 한국 페북 유저들의 페북에 대한 만족도가 많이 떨어지는 것 같은데 광고의 퀄리티 문제도 있는 것 같고 다른건 시스템의 문제인건지 유저의 성향문제인건지 참 신기하네요. 미국에 있을때는 아주 기본적인 SNS그자체에 대한 불만적인 요소외에 페북에 특정하여 별로다 이런 이야기를 많이 듣진 못했는데. 알고리즘의 문제인건지 유저 자체가 많은사람들이 과시적인걸 좋아하다보니 그런건지...
동의합니다. 사용자가 차라리 알고리즘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면 참 좋을텐데요 (심지어 그냥 시간 순으로 하는 것까지 포함해서요.) 소통에 방점을 두다 과도한 (자극적인) 소통 (이면서 홍보나 전파를 추구하는 목적) 으로 밀고 나가는 느낌이 듭니다.
유저 편의성, 맞춤성이라는 말로 포장을 하지만 실상은 유저가 최대한 더 많은 시간을 자신들의 플랫폼에 소비할 수 있도록 끌어들이기, 붙잡기 용 바이럴 포스트들을 열심히 보여주는 거죠.
유튜브도 마찬가지의 맥락으로 끊임없이 관련 동영상을 보여주며 실상 내용은 허망한 클릭베잇 영상들을 추천하고...
저의 경우에는 트위터나 페이스북을 거의 하지 않아요.
오히려 스팀잇에서 보내는 시간이 가장 많은 것 같더군요.
스팀잇에는 그래도 내가 최근에 관심을 갖는 "암호화폐"에 관한 내용이 많거든요.
지금은 조금씩 식상한 감도 느끼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암호화폐에 관한 글이 재미 있더군요. 너무 반복되기도 하니 가끔은 다른 성격의 글도 읽지요. 최근에 다양한 글이 줄어든 것이 확연히 느껴집니다. 아무래도 스팀잇이 슬럼프에 빠진 것 같기도 하더군요. 그래도 며칠 사이에는 다시 스팀잇을 시작하겠다는 글이 많아지고 있기는 해요.
스팀잇도 아무런 부담없이 글을 쓸 수 있는 매체가 되었으면 좋겠어요.
아직까지는 스팀잇에서 글을 쓸 때에는 조금 부담이 가더군요.
저도 크립토와 블록체인에 관심이 많긴 하니 스팀잇이 그 점에서, 특히 kr 커뮤니티가 발전해있기에 한글로 된, 때론 번역된 좋은 정보들을 얻고 배울 수 있다는 점에서 좋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1차적으론 레딧이나 다른 해외 커뮤니티에서 정보를 얻고 배우는 편이라 스팀잇에서도 그런 걸 보고 있자면 마찬가지로 피곤해지네요ㅜ. 사실상 사진이나 기타 예술에 관한 좋은 글들을 보고 싶지만 뭐 제 욕심입니다 이런 건 관련 커뮤니티에나 있는거라... 역시 스팀잇이 부담없이 글쓰는 매체가 되는 게 가장 좋은 바람인 것 같습니다. 말 그대로 편한 블로깅...
스팀잇에 희망을 보는 사람들의 공통적인 부분인것 같아요. 개인적으로나 사화적으로나 악영향이 생길수 밖에 없는 타 SNS의 구조에 회의를 느끼는것.. 저도 생각을 풀어 쓰기 시작하면서 부족한점도 많지만 한결 글쓰는 욕구가 해소된것 같아요. 자주 소통해요~ ^^
+개인의 프라이버시에 대한 기업의 독점과 같은 주제로도 깔 말이 많은데 쓰기 힘들어 참았습니다. 스팀잇도 단점이 있지만 그럼에도 훨씬 낫다는 생각이 드는 요즘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