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립스팀] Trips.teem에게 바라는 토큰 이코노미

in #kr6 years ago

https://kr.tripsteem.com/

요즘 @clayop님께서 토큰 이코노미에 대해서 풀어쓰기 시작하셨다. 관심있게 자세하게 읽고 있는 중입니다. 연재글 중에 5.번 보상과 목표행동의 불일치 에 나와있는 내용중 제가 봤을때 핵심인 다음 내용을 바탕으로 트립스팀에게 바라는 토큰 이코노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시장 참여자는 모두 이윤 극대화를 추구한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런 문제를 도덕이나 규범으로 다룬다는 것은 이타심을 강요하는 행위 밖에 되지 않는다. 중요한 것은 토큰 이코노미의 보상 체계가 가질 수 있는 헛점을 사전에 철저히 조사하고 개인의 이익추구가 사회적 이익추구와 가능한 일치할 수 있도록 토큰 이코노미를 설계하는 것이다
Source: @clayop

1. 온라인 세일즈의 기본은 검색



원론적인 이야기이긴 합니다만, 결국 트립스팀이라는 플랫폼이 토큰 이코노미를 생성하기 위해선, 즉 토큰을 통한 제품 판매를 만들어주기 위해서는 여행 관련하여서는 검색의 기준이 되어주어야 합니다. 검색엔진이 아닌 컨텐츠 큐레이션 장소가 어떻게 검색의 기준이 되는가의 답은 결국 SEO에 있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암호화폐관련하여 공부를 하게 되면 검색하다 보면 언제나 다시 스팀잇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암호화폐 관련 글들이 많이 쌓인것도 있지만 그만큼 STINC의 SEO가 쎈 편인거죠. 트립스팀도 SEO 최적화를 통해 카테고리, 키워드등을 양질의 컨텐츠로 잠식해가면서 주요 검색엔진에서 상위 노출을 하고 필요시 내용을 위해 트립스팀으로 유토를 해야합니다. 이것을 풀기 위해서는 양질의 컨텐츠를 생산해주는 커뮤니티 생성이 근본입니다.

2. 커뮤니티 생성을 위한 보상체계의 시작



Source: rawpixel

트립스팀은 현재는 스팀기반으로 돌아가고 내년 3월달 이후부터는 SMT로 운영될 예정입니다. 길면 길고, 짧으면 짧은 기간동안 글을 작성하는 커뮤니티와 커뮤니티에서 큐레이션으로 활동하는 유저도 같이 만들어줘야하는 어려운 과제가 있습니다.

즉, 커뮤니티의 최종 보상 체계는 트립스팀의 고래 계정에 의한 큐레이션이 아닌 커뮤니티 자체내의 큐레이션을 통한 보상 체계가 돌아가게 만들어줘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랭킹 시스템이나 카테고리별 베스트선정과 같은 컨텐츠의 효과적인 노출과 작가와 커뮤니티 유저들에게 지속적으로 흥미를 유발 할 수 있는 "놀거리"를 제공해줘야 합니다.

이 활동이 성공적으로 지속되면 키워드별 SEO 노출을 위한 Data가 시간과 함께 충분히 쌓일것으로 보입니다.

3. 검색엔진으로써의 활용도와 이코노미의 시작


Source: 트립스팀/@floridasnail
여행을 알아보기 (꿈꾸기) 위해 주제별 찾아야할 곳은 트립스팀 Data가 결국 나에게 가장 정확하게 제공하게 되면 유저들은 트립스팀 내에서 검색을 통한 활동을 시작하고, 북마킹등의 행위로 여행을 준비하게 됩니다. 이미 트립스팀이 시작은 했지만, 여기에 북마킹, 큐레이션등과 같은 행위에도 reward나 gamification 을 조합했을 때 그것에 의해 발생하는 SMT 토큰을 자연스럽게 쓸 수 있는 곳을 만들어주면 이코노미는 시작을 합니다.

이것은 작게는 다른 여행사로 연결만 해주는 referral 시스템이 될 수 도 있고 (예를 들어 네이버를 통해 제품을 사면 조금더 할인해서 살 수 있는 것과 같은 원리) 아니면 아예 여행사 패키지나 항공권을 트립스팀 내로 들여와서 판매하는 방식을 자연스럽게 떠올릴 수 있다.

이때 여행사 상품을 들여오기 위해서는 SMT 토큰의 신뢰를 만들어주기 위해서 여행사 측이 가질 수 있는 리스크를 줄여주면 됩니다. 즉, SMT 토큰을 이용해서 예를 들어 항공권을 할인해서 샀을 경우 소비자에게는 SMT 토큰 할인에 의한 이익을, 그리고 B2B 여행사에게는 기준통화(USD나 원화나, 그 지역에 맞게) 가격의 보장을 중간에서 중재해주면 됩니다. 환율에 대한 리스크가 있겠지만, 자체 토큰의 신뢰와 안정화를 위해 가지고 가야할 과제라고 생각합니다.
(SMT 토큰 -> STEEM or SBD -> 기준통화 환전)

4. 이코노미 사이클의 완성



Source: Lucas Miguel

트립스팀에서 활동에 의한 보상으로 받은 토큰을 이용해서 실제 제품의 할인이나 구매까지 가능하게 되면, 그이후는 여행후에 새롭게 만들어질 컨텐츠도 기대할 수 있고, 긍정적인 사용경험에 의한 플랫폼 충성도도 생길것으로 예상됩니다. 한 매출 사이클을 돌아 유저는 플랫폼에 대한 신뢰를 얻고 트립스팀은 소중한 고정 유저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기본 이코노미가 세팅이 된 후에는 사실상 그 가능성은 무궁무진합니다. API연동을 통한 트립스팀 보상 버튼을 모든 여행사 사이트에 대여/판매하는 것 부터 중소기업/대기업과의 협업을 통한 보상체계 공유도 생각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초기에 언급했듯이, 모든것의 시작은 탄탄한 커뮤니티입니다. 커뮤니티가 없으면 이코노미도 만들어 질 수 없고, 이코노미가 만들어지지 않으면 토큰 발행도 무의미하기 때문입니다.

트립스팀 흥해랏~!

Sort:  

안녕하세요. 트립스팀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snackplus입니다.

트립스팀은 ‘여행에 소통을 더하다’라는 슬로건아래
유저와 플랫폼, 유저와 유저들간의 소통, 더 나아가 여행의 준비부터 트립스팀과 함께하며 여행이 좀더 다양하고 풍부해지는것을 목표로 하고있습니다.

저희가 나아가는 목표는 단순히 트립스팀이 뛰어난 플랫폼이라서 탄탄한 토큰이코노미를 가지고있어서만은 진행될 수 없습니다.단단한 유저들의 커뮤니티가 뒷받침이 되지않는다면 단순히 보상을 주는 여행 후기사이트의 일회성인 사이트에 그칠수 밖에 없습니다.

현재는 스팀위에서 보상시스템을 통해 사용자분들의 여행기를 단순히 트립스팀에 기록하고 있지만 쌓인 여행기들을 통해 큐레이션, 여행상품, 항공권 구입등의 토큰이코노미, 더 나아가 여행 전반에 저희 트립스팀이 활용될 수 있도록 기획하고 실행해 나가고 있습니다.

저희 트립스팀의 여행은 이제 시작되었습니다. ^^ 저희와 함께 여행을 떠나주세요~^^ 잘부탁드리겠습니다.!

트립 스팀 흥하세요! ^^

트립스팀의 영역이 될지 모르겠으나 호텔등의 숙소에 대한 리뷰를 하는 곳도 있으면 좋을것 같습니다.
여행기 라는 풀스토리는 여행에 직접적인 도움이 크게 되진 않습니다.
차라리 호텔에 대한 리뷰를 모아서 볼수 있다면 더 좋을것 같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호텔리뷰라는 건 상당히 주관적이라서 자기와 비슷한 성향의 사람의 리뷰가 도움이되거든요. 여기저기 퍼져있는 호텔리뷰의 경우 작성자의 히스토리를 알기 힘들지만 스팀잇은 작성자의 선호도나 특징들을 파악하기 좋잖아요. 댓글 알바도 생길수도 없구요.~^^

그간의 팀중에서도 가장 좋아하는 여행에 관한 팀이 생겨서 너무 좋습니다.
트립스팀 흥해랏~!!ㅋㅋ

여행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호텔, 렌트카 (그것도 국가별? ㅎㅎ), 항공기, 공항같은 특정 장소에 대한 리뷰도 생각해볼 수 있죠. 트립스팀이 꼭 여행기가 아니라 결국은 컨텐츠의 중앙관리소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기때문에 맞는 종류의 컨텐츠라고 생각됩니다.

트립스팀 흥해랏. ㅋㅋ..

3번 검색엔진으로서의 활용도와 이코노미의 시작이 제가 오래전부터 바라왔던 것입니다.
저는 여행을 기획하고 조사하고 실행에 옮기는 것에서도 큰 즐거움을 느끼는 사람인데요, 대부분의 여행기는 멋진 풍경과 맛있는 음식과 그에 대한 감상만을 담고 있어서 좀 아쉬울 때가 있습니다.
여행의 테마, 여행 일정과 동선, 비용과 가성비에 따른 선택 등에 대한 정보들은 많이 없는 것 같아서요.
앞으로 트립스팀이 크게 성공하여 여행사와의 여행상품 결부도 가능하게 되고 자체 여행 진행도 가능해지면 좋겠네요. 스팀의 보상과 토큰 만으로도 여행갈 수 있는 날까지 가즈아~^^

여행이 만들어내는 컨텐츠의 종류는 말씀하신 바와 같이 여행 자체만 있는 것이 아니라 준비단계도 사실상 큰 부분을 차지하는것 맞습니다. 특히 여행중 “얼마얼마” 들었다를 자세하게 알려주는 여행기는 눈이 확 가기 나름이죠. 준비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궁금한 사항이니까요. 트립스팀 잘 해낼것이라고 여겨집니다. 경영진 만나보고 나니 잘 할거라 확신이 듭니다 ㅎㅎ

트립스팀 흥해랏!!

스타일 골드님 글 처럼 트림스팀에 렌트카 숙소등도 리뷰 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그러면 더 많은 분들이 찾지 않을까 하네요.

트립스팀 화이팅~~

좋은 제안 함께 공감합니다~!

제안 제언이 단지 이견과 딴지가 아닌 이견도 의견으로
받아들여지는 탈중앙화 블록체인 세상으로~!

트립스팀 흥해랏~!

트립스팀 흥해랏.. ^^ ㅎㅎ.. 네감사합니다! 해피 추석이요~!

우울증 뽀사버리는
행복한 추석 연휴 보내셔용~ ^^

큰 꿈을 가지고 계시네요.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ㅎ 저는 비젼만 제시할 뿐 실행은 트립스팀이 해야하니까요 ㅎ

@jayplayco님 곰돌이 자다 깨서 보팅 왔어요. 그럼 전 다시 꿈나라로~ @gomdory 곰도뤼~

역시 제이님.
전 단순하게 생각했는데 잘 배우고 갑니다.
남은 연휴도 즐겁게 보내세요^^

Coin Marketplace

STEEM 0.23
TRX 0.12
JST 0.029
BTC 66466.45
ETH 3595.87
USDT 1.00
SBD 2.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