팽나무 고목에서 잘자라는 팽나무버섯
버섯의 일종. 팽나무 고목에서 많이 자란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팽나무버섯이라고도 한다. 팽나무 고목에서 잘 자란다고 했지만, 실제로는 감나무, 뽕나무 등의 활엽수 그루터기에서도 잘 자란다. 톱밥에서 인공적으로 키우기도 한다.
시중에서 파는 흰색 팽이버섯은 톱밥을 이용해 인공적으로 키운 것이 많은데, 이때 야생과의 환경 차이로 야생 팽이버섯보다 가늘고 길게 자란다. 야생 팽이버섯은 시중에 많이 유통되는 것보다 자루도 더 굵고 갓도 더 큰 것도 많은 편으로, 생김새만 보면 거의 전혀 다른 버섯으로 보인다. 집에서 버섯재배키트나 밑둥을 키워도 이런 모양새가 나온다. 집에서 팽이버섯을 길러 먹을 수 있는 키트도 판매중. 어차피 키트라고 해 봤자 팽이버섯 종균이 퍼진 톱밥을 적당한 통에 눌러담으면 끝이다. 일본에서도 이렇게 돼 있는 균사병을 소량 판매하는 곳이 몇 군데 있긴 하지만, 집에서 키우면 잡균 등 여러 문제로 상품가치가 있는 팽이버섯은 나오지 않는다고 한다.
참고로 야생 팽이버섯은 가열하면 끈적한 점액 같은 것이 나온다. 인공재배의 경우에도 종종 점액질을 뿜는 것들이 몇 있다. 찝찝해서 없애려 한다면 한 번 씻으면 거의 사라지고, 대부분은 끓이면 해결된다.
야생 팽이버섯은 겨울에 나기 시작해 이른 봄에 절정을 이룬다. 2월 하순 무렵 비가 내린다면 팽이버섯이 군락을 이루었을 가능성이 높다
식용 버섯은 거의 모두 익혀 먹는 것을 전제로 식용으로 재배되고 판매되는 것이다. 가열하면 휘발되거나 파괴되는 독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고,[6] 유해한 세균이 덩달아 배양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팽이버섯도 마찬가지인데, 조리하지 않은 팽이버섯에는 단백질계 독소인 플라뮤톡신(Flammutoxin)이 들어 있으며, 이 성분은 용혈 현상을 유발할 수 있다. 플라뮤톡신은 가열하면 분해되기에, 익혀 먹으면 아무 문제 없다. 게다가 보관, 취급에 따라 식중독균인 리스테리아도 나타날 수 있으므로 절대 생으로 먹어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