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악산 산행길 관음사에 들러다.
눈이 내린 겨울산행은 다소 위험하기도 하지만 나름 운치도 있는것 같아 사당에서 출발하는 산행을 시작해 보았습니다.
지난번에 이어 2번째 같은 코스인데 그때 관악산 사당코스 산행길 초입에 있는 관음사를 지나쳐서 이번에는 잠시 들러 경내를 관람해 보았습니다.
서울에 있는 사찰로 규모가 크지는 않지만 나름 운치가 있는 것 같네요.
관악산 관음사(冠岳山 觀音寺)
관음사는 관악산 줄기의 북쪽 사면인 서울시 관악구 남현동 519-3번지에 위치한 대한불교 조계종 사찰로서, 신라 말엽인 895년(진성여왕 9년)에 도선국사가 창건한 비보사찰로, 천여년의 역사를 지닌 유서깊은 관음기도 도량이다.
1977년 극락전 해체시에 발견된 상량문을 보면 조선조 숙종 42년인 1716년 4월 21일에 극락전을 개축하였고, 영,정조 시대에 쓰여진<범 우고>와 <가람고> 및 <여지 도서>에 의하면 관음사에 대한 대강의 기록과 함께 사찰 근처에 승방벌이라는 마을과 승방교라는 다리가 있었던 사실을 기술한 것으로 보아 사찰의 규모가 매우 컸던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봉은말사지>에 의하면, 1924년에 전석주 스님이 요사체 1동을 신축하였고, 그후 정봉선 스님이 삼성각과 극락전을 다시 개축한 것으로 전해진다.
그러나 근세에 이르러서는 창건역사와 유래에 걸맞는 발전을 하지 못하고 당우의 황폐화와 사세의 위축으로 그 명맥만 유지할 뿐이었다.
그러던 중 1973년 진산당 박종하 스님이 주지로 부임하여 사찰중흥을 위한 장기 불사계획을 수립하고 1977년에 정면 5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형 대웅전을 다시 짓는 것을 시작으로, 1980년 부터 1989년 사이에 범종각 신축 및 범종 조성,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 붕형 삼성각 증·개축, 정.측면 각 1칸의 용왕각 증.개축 및 그자형의 요사채 (7칸)를 신축하였다.
그리고 1992년에는 대응전 마당 지하에 대 강당을 신축하고 강당내에 3천불을 조성하였으며, 1997년 에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 지붕형 명부전과 동측 요사채 1동(3칸)을 추가 신축하였고 재단법인 불교방송이 발원한 불교방송 개국기념 대탑 (9층 석탑)을 경내에 유치 조성하였다.
뒤 이어 2001년과 2002년에는 요사채와 공양간을 크게 신축하고 저수조와 미타전을 조성하였다.
또한 2005년 에는 대웅전 좌측에 석조 관세음보살 입상을 조성 하여 가람의 '격을 더 한층 높였으며 2007년 봄에는 관악산 산문초입에 [관악산 관음사] 일주문을 건립함으로서 30여년에 걸친 장기대작불사를 마무리 짓고 현재에 이르렀다.
<출처 : 관악산 관음사 안내문>
경내를 잠시 들러보고 산행길에 다시 오릅니다. 차가운 겨울날씨가 걸음을 제촉 하네요.
페이스를 잘 조절해야 될 것 같습니다.
2020.12.23.
[US$49.00](▼14%)[Nespresso]스타벅스 네스프레소 호환 캡슐 7종 / 120 캡슐 골라담기 / 20개씩 총 6종류 교차 선택 가능 / 중복 선택 가능 / 재고 확보 / 무료배송 / 개당 약 486원 최저가★
WWW.QOO10.COM나는여기서산책하는것을좋아하며력사를느끼는것을좋아한다. ㅎㅎ (당신이 저를위해투표해주셔서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