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 짓는 삶을-습관의 힘(#85
‘짓다’라는 우리말. 여러모로 쓰인다. 근데 가만히 들여다보면 조금 깊은 뜻이 담겼다.
밥을 짓다. 집을 짓다. 옷을 짓다. 여기서 ‘짓다’는 사전에 따르면 재료를 이용하여 뭔가를 만들어내는 걸 뜻한다. 근데 이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짓다’에는 여러 과정을 거친다는 뜻도 포함된다. 밥을 짓자면 쌀 방아를 찧어야 하고, 쌀을 씻고, 밥을 안치고, 불을 지피고, 뜸을 들여야 한다.
집도 마찬가지다. 설계가 먼저 필요하고, 벽 문 같은 재료를 준비하고, 이를 잘 다듬질하여 쌓고 조립하여 집을 완성한다. 옷도 요즘은 우리가 너무 쉽게 사서 입을 수 있어 그렇지 본래는 다 지어서 입었다. 옷을 짓자면 우선 삼베나 누에 농사를 지어 실을 얻어야 한다. 이를 옷감으로 짜고 다시 바느질하여 옷을 만든다.
심지어 안 좋은 뜻으로 쓰이는 ‘죄를 짓다’도 비슷하지 않을까. 누구나 죄를 짓고 싶어 짓지는 않을 것이다. 주어진 환경에서 고민하고 또 고민하다가 정말 어쩔 수 없는 선택으로 할 것이다. 겉으로는 충동적인 범죄라 하지만 그 이면을 뜯어보면 말 못할 사정들이 겹치고 겹쳐 일어난 결과라 하겠다.
새해 인사로 가장 많이 쓰는 말이 ‘복 많이 받으세요.’
나는 이 말을 바꾸는 게 좋다고 믿는다. ‘복 많이 지으세요.’로.
어디 한번 찬찬히 살펴보자. 누가 복을 주는가? 그리고 무엇이 복인가?
내가 생각하는 큰 복은 두 가지, 건강과 일이다. 사람마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그리 건강하지 못하다. 한두 가지 병이나 아픔을 안고 산다. 크게 아프지 않다고 건강하다고 말하기는 어려우리라.
그럼, 이 건강을 누가 주는가? 요즘 세상은 사회 건강, 지구 건강과 뗄 수 없기에 개인 노력에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근본은 스스로 관리하는 게 첫째일 수밖에 없다. 때문에 스스로 건강을 챙겨야한다고 하겠다.
그 다음 복은 일이다. 자신을 실현하고 또 사회적으로 뜻있는 일을 한다는 건 큰 복이다. 그 외 재산은 부차적이라 본다. 재산이 많다고 반드시 복이 있는 건 아닐 것이다. 가족끼리 분쟁을 쉽게 겪게 되며, 잃어버릴 것에 대한 두려움이 훨씬 클 테니 말이다. 나는 복 있는 정도를 ‘빚이 없는 상태’라 여긴다. 나머지는 자신이 받아들이기 나름이리라. 더불어 건강하면 자신한테 필요한 돈 정도는 따르는 게 아닌가 싶다.
이렇게 복을 구체적으로 짚어본다면 복은 받는 게 아니라 스스로 짓는다는 게 더 맞지 않을까. 그렇지 않다면 요행을 바라는 것 밖에 안 된다.
건강하기 위해서는 부모로부터 물러 받은 몸을 자기 관리를 통해 끊임없이 돌봐야한다. 몸과 마음이 건강하면 하는 일도 당연히 잘 된다. 삿된 욕심도 덜 생긴다. 건강이 망가지는 건 하루아침에도 가능하다. 하지만 건강을 회복하는 건 나이가 들수록 그리 만만하게 아니다.
이렇게 따져보면 복은 짓는 사람 몫이다. 복을 짓는 삶는 참다운 나눔도 가능하지 않을까. 모두 새해에는 복을 많이 지으시고 또 나누어주시길 빈다.
짱짱맨 호출에 응답하여 보팅하였습니다.
고맙습니다.
말씀 고맙습니다. 복 짓는 새해 되시길 바래요.
seoinseock님도 새해에도 복 많이 나누어주세요
Congratulations @kimkwanghwa! You have completed the following achievement on the Steem blockchain and have been rewarded with new badge(s) :
Click here to view your Board
If you no longer want to receive notifications, reply to this comment with the word
STOP
To support your work, I also upvoted your post!
만족하며 사는 삶이 그 출발이지 않을까 싶네요. 복다운 복을 짓기 위해 올해는 좀더 긍정적으로 살고 싶습니다.
만족을 아는 삶
참 소중하면서도 쉽지 않는 과제입니다^^
새해 복많이 지으세요~^^
감사합니다
새해에도 건강을 위한 운동
함께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