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의 단상/240605] '24년 하반기 자산시장전망 리뷰#5

오늘도 어제에 이어 자산시장전망 리뷰를 이어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Global Portfolio

자산배분 전략

[자산배분] 자산배분 국면의 이해

2024년 하반기 자산배분 국면은 미국 경기 둔화에도 확장 유지(연착륙). 변동성 예상되나 물가 안정 경로 진입. 다만 국가간 경기-물가통화정책 경로 모두에서 차별화 예상
저성장-저물가 국면 거치지 않은 성장 유지물가 안정 국면 진입에 주식-채권 동반 강세 기대되는 자산배분에 있어 최적의 조합

->대부분의 국가(일본 제외)가 고성장/저물가 분면에 들어가고 있네요. 주식과 채권 동반강세가 예상되지만 개별자산 선별에 난이도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네요.

[자산배분] 높아진 시장의 눈높이

주식시장 랠리 지속, 바닥 통과한 채권시장에 기대

->현 국면을 위 단 한문장으로 표현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투자자들의 높아진 눈높이에 맞는 투자전략을 짜는 것은 생각보다 쉽지는 않아 보입니다.

[자산배분] 자산별 기대 수익률 분포

하반기 자산별 기대 수익률은 기존 표준편차(6M, 2% 단위) 중간값 상단에 위치. 최근 2년간의 자산시장 랠리에 높아진 시장의 기대수익률을 충족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

[채권] 상대 매력 확보에도 낮아진 기대

높아진 Yield, 낮아진 Capital gain

우호적 Macro 환경에도 1) 잠재적 불안요인 잔존, 2) 제한된 기대수익률, 3) 과잉 유동성 장세에서의 변동성 장세 반복 우려에 노출

->채권 시장 또한 위 한 문장으로 표현되고 있네요.
->높아진 일드와 낮아진 capital gain; 장기채권 트레이딩에 있어서는 좀 조심할 필요가 있겠으나 일드에 대한 접근은 항상 유효할 것 같습니다.
->좀 더 전략적 접근을 가미한다면 안정적인 수익률을 올리는 데에는 무리가 없을 것 같네요.

[주식] 기업이익 확신, 추세에 의심 없다

펀더멘탈과 할인율의 시소게임
견조한 기업이익은 할인율 상승 부담 상쇄하며 강세장 배경 조성. 선제적 금리 인하 기대감 후퇴했지만 이미 밸류에이션에 충분히 반영.
Micro(투자+첨단기술 침투) 구조적 성장 주기의 2~3년 여력도 존재. 기업이익 경로 의구심 없으며 상승 추세 이어질 전망

->이익에 대한 주가기여도는 계속해서 올라가는 것으로 보이네요.
->PER변화율이 0까지 떨어진다는 것은 올라가는 가격만큼 기업의 이익이 뒷받침되고 있다는 증표인 것 같습니다.
->투자/첨단기술 침투가 계속 진행되는 향후 2~3년의 주식에 대한 투자 매력도는 계속해서 존재할 것 같습니다.

[주식] 국가 우선순위

[결론] 자산별 투자 전략

구조적 변화, 순환적 대응

  • 2024년 디스인플레이션 국면을 가정하지만 동적 대응의 필요성은 되려 높아짐. 채권보다 주식 우위가 선행. 이후 고금리 불확실성
    소화하며 채권 우위로의 전환 예상

  • 주식, 채권, 대체 6:3:1에 두고 상반기 주식 우위와 단기물 중심의 보수적 대응, 하반기 주식에서 채권 우위로의 전환 필요

  • 고금리 장기화에 대비해야 함도 강조. 고물가고금리를 New Normal로 인식. 이는 pivot에 베팅보다 고금리 대응이 선행돼야 함을 의미. 무위험채권 캐리 매력뿐 아니라 헤지수단으로 변동성 제어 역할 부각 받아야 한다는 판단

  • 과거 경험치에도 제약적 금리가 야기한 성장, 물가 동반 둔화 구간에서 안전자산 우위(주식<채권)가 반복. 상반기 단기물 채권의 적극적 비중 확대, 2분기 이후 중-장기물 분할 매수 전략 제시

->투자전략이 위 꼭지들에서 아주 잘 정리가 되어 있네요.
->중장기적으로는 제약적 금리가 야기한 성장/물가동반 둔화 구간에서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므로, 단기/중기 대응과 중기/장기 대응은 달리 가져갈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단기/중기에서는 성장이 계속되는 주식/채권/대체에 6:3:1이 제시되었고, 중/장기에서는 좀더 장기물 채권 위주로 비율을 높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내일은 보다 중요한 내용인 Big Picture > Next Stage에 대한 내용을 리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활기찬 하루들 되시기 바랍니다.~

Sort:  

Upvoted! Thank you for supporting witness @jswit.

Congratulations, your post has been upvoted by @nixiee with a 4.902859910239838 % upvote Vote may not be displayed on Steemit due to the current Steemit API issue, but there is a normal upvote record in the blockchain data, so don't worry.

Congratulations, your post has been upvoted by @upex with a 4.23% upvote. We invite you to continue producing quality content and join our Discord community here. Keep up the good work! #upex

좋은 내용입니다만 단 하나 걸리는건 한국이 상위..라는점? 큰 손들이 다 나가고 있는 형국인데 국장이 살아날 수 있을까란 의문이 조금 드네요.

한국 관련한 전략은 후편에서 다뤄질 듯 합니다.^^
더불어 얘기해보자면 어느 전문가의 말씀처럼 세계경제에서 차지하는 위상과 규모에 따라 투자를 배분하는 것이 맞는 것 같습니다.
미국:중국:others로 보면 지금은 6:3:1 정도가 아닐까 보면 중국의 혼란한 상황을 감안하면 7:2:1 정도 투자하는 것이 맞을 것 같습니다.
만약 한국의 하반기 혹은 내년 전망이 좋다고 한다면 7:2:1 즉 10%에서 한국과 다른 국가들(eu/일본/베트남/대만 등등) 비율을 또 고려한다면 3 ~ 5%(한국) : 5 ~ 7%(eu/일본/베트남/대만 등등) 밖에 배분이 안될 것입니다.
즉, 위 전문가들의 견해를 한국시장이 좋으니 50% 이상 투자하는것이 좋겠다는 의견이 아닌 평소 3% 정도이나 경기가 호전될 예정이니 5% 정도로 늘리는 것이 좋겠다 정도로 해석하는 것이 정확할 것 같습니다.

Coin Marketplace

STEEM 0.20
TRX 0.12
JST 0.029
BTC 60939.25
ETH 3370.16
USDT 1.00
SBD 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