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飮食) 3

in #health9 days ago (edited)

예기(禮記)의 내칙(內則)에서 대추, 밤, 엿, 꿀은 달게 하고 조미료(堇, 荁, 枌, 榆, 免, 薧, 涾, 瀡)로 맛을 매끄럽게 하고 기름으로 걸죽하게 한다고 했다. 내가 살펴 보건대 달게 하여 비장을 강화 시키고 매끄럽게 하여 비장의 에너지를 펼치고 걸죽하게 해서 비장의 진액을 더한다. 세가지 모두 비장의 작용에 관여한다. 옛 사람이 노인을 공양하고 비장을 조화롭게 하는 방법은 음식으로 치료하는 것이다.
 
《記·內則》曰:「棗子、栗、飴、蜜以甘之,堇、荁、枌、榆、免、薧、涾、瀡以滑之,脂膏以膏之。」愚按甘之以悅脾性,滑之以舒脾陽,膏之以益脾陰,三之字皆指脾言,古人養老調脾之法,服食即當藥餌。

고대에는 기초 영양소로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비타민, 및 미네랄의 개념이 없었지만 맛으로 영양의 개념을 이해하였다. 단 맛의 탄수화물 역할, 매끄러운 맛(滑)이 비타민, 미네랄을 함유하는 식물성 조미료로(堇, 荁, 枌, 榆, 免, 薧, 涾, 瀡) 음식에 풍미를 더하고, 기름진 식재료가 지방 역할을 한 것이다. 그리고 이 음식은 분해되어 비장(脾臟)을 통해서 필수 영양소로 변화되는데 이를 운화(運化) 작용이라고 불렀다. 저자는 비장의 기능을 특히 강조하는데 단맛, 매끄러운 맛, 기름진 맛의 3가지 체계로 분류한다. 노인 건강에 특정한 맛이 강한 약을 쓰는 것보다 약에 비해 완만한 맛의 성질을 가진 음식으로 건강을 유지 시키도록 한다.


노노항언(老老恒言)


노노항언(老老恒言)을 시작하며 | 자산의 머릿말(慈山序) | 개꿀잠(安寢) 1, 2, 3, 4, 5, 6, 7, 8, 9, 10, 11 | 아침 적응(晨興) 1, 2, 3, 4, 5, 6, 7, 8, 9 | 세수(盥洗) 1, 2, 3, 4, 5, 6, 7 | 음식(飮食) 1, 2, 3,

Sort:  

Upvoted! Thank you for supporting witness @jswit.

Coin Marketplace

STEEM 0.20
TRX 0.12
JST 0.029
BTC 61258.65
ETH 3372.50
USDT 1.00
SBD 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