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경 공부 제65장
도덕경 공부 제65장/cjsdns
古之善爲道者(고지선위도자) : 예로부터 도를 잘 실천하는 사람은
非以明民(비이명민) : 백성을 명석하게 만들지 않고
將以愚之(장이우지) : 오히려 어리석게 만들었다
民之難治(민지난치) : 백성을 다스리기가 어려운 것은
以其智多(이기지다) : 아는 것이 많기 때문이다
故以智治國(고이지치국) : 지혜로 나라를 다스리면
國之賊(국지적) : 나라에 도둑이 들끓고
不以智治國(불이지치국) : 지혜를 걷어내고 나라를 다스리면
國之福(국지복) : 나라에 복이 있게 된다.
知此兩者亦稽式(지차량자역계식) : 이 두 가지를 알면 법도를 깨우칠 수 있다.
常知稽式(상지계식) : 항구적인 법도를 깨우친 것을
是謂玄德(시위현덕) : 현덕, 즉 깊고 넓은 덕이라 한다.
玄德深矣(현덕심의) : 현덕은 깊디깊고
遠矣(원의) : 멀어서
與物反矣(여물반의) : 사물의 이치에 반하는 것 같지만
然後乃至大順(연후내지대순) : 그것이 결국 큰 순리에 이르는 길이다.
😂
古之善為道者
非以明民 將以愚之
옛날에 도를 잘 행한 자는,
백성을 밝게하지 않고 어리석게 만들었다.
民之難治 以其智多
백성을 다스리는 것이 어려운 것은 꾀를 많이 내기 때문이다.
故以智治國 國之賊
不以智治國 國之福
그러므로 꾀로서 나라를 다스리면 나라의 적이 되고,
꾀를 내지 않고 다스리면 나라의 복이 된다.
知此兩者 亦楷式
常知楷式 是謂玄德
나라의 적과 복을 알아야 본보기가 되고,
그 본보기를 언제나 마음에 두고있는 것을 '그윽한 덕'이라 부른다.
玄德深矣 遠矣 與物反矣
然後乃至大順
'그윽한 덕'은 깊고도 멀어 사물과는 반대편에 있으니,
끝내 큰 순리에 이른다.
😄
아는 것이 많다고 말하는 사람은 길을 인도하기가 어렵다.
모른다고 말하는 사람에게는 자기의 길을 찾게 할 수 있다.
도를 잘 실천하는 사람은 사람을 약아빠지게 만들려 하려 하지 않고
오히려 겸손하게 만들었다.
사람을 다스리기가 어려운 것은 아는 체하며 시건방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꾀로 나라를 다스리는 것은 나라에 해가 되고
잔꾀 없이 다스리는 것이 나라에 복이 된다.
이와 같은 것을 깨달은 것이 하늘의 법도를 깨닫는 것이다.
언제나 하늘의 법도를 깨닫고 있음을 그윽한 덕이라 한다.
여기서 그윽한 덕은 무위자연으로 그 이치를 안다는 것은 너무나도 깊고 멀어서
세상 돌아가는 이치에 이치에 반하는 것 같지만 결국 큰 틀에서 보면 순리를 따름이란 생각이 든다.
오늘 도덕경은 해석본만 보면 당황스럽기도 하다.
그러나 핵심 한자를 사전을 찾아 의미를 다시 새겨보면 이해가 된다.
이런 경우 같은 글을 놓고도 전혀 다른 상반된 이야기로 해석될 수 있다.
오늘 도덕경이 그렇게 생각되었다.
당황스럽던 마음이 한자를 찾아 재해석 아니 공부가 된 거 같다.
감사합니다.
도덕경 공부 도우미출처:네이버 블로그노자 <도덕경> 원문해석https://m.blog.naver.com/chamnet21/221742719382
위키문헌,
https://ko.wikisource.org/wiki/%EB%B2%88%EC%97%AD:%EB%8F%84%EB%8D%95%EA%B2%BD
2024/12/22
천운